파손된 무안공항 착륙 유도 안전시설 - 무안국제공항 활주로 인근에 설치된 콘크리트 재질의 로컬라이저(착륙 유도 안전시설)가 참사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진은 30일 무안공항 로컬라이저가 전날 제주공항 여객기와의 충돌 여파로 파손된 모습. 무안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무안 제주항공 참사로 제주항공의 정비 시스템 문제가 다시 도마에 올랐다. 5년 새 정비사 수는 13% 넘게 줄었고, 항공기 기령(사용 연수)은 높은데 정비 비용은 대형 항공사의 절반에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국토교통부 항공정보포털시스템 항공종사자 현황에 따르면 제주항공의 항공정비사 수는 2019년 542명에서 지난해 469명으로 13.5%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항공 정비사는 2020년 501명, 2021년 465명, 2022년 431명으로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매년 감소하다가 지난해 처음으로 반등했지만 5년 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다.
정비사가 부족하면 정비사 피로도가 증가해 정비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국토교통부가 박상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7월 기준 전체 운항편 대비 항공기 정비를 이유로 출발이 지연된 비율은 제주항공이 0.77%로 국내 11개 항공사 중 가장 높았다.
제주항공 항공기의 평균 기령이 업계 최고 수준인데도 정비 비용이 대형사의 절반도 못 미치는 점도 문제로 꼽힌다. 항공기안전투자공시에 따르면 제주항공이 내년 항공기의 정비∙수리∙개조에 사용하겠다고 공시한 비용은 약 2209억원이다. 항공기 1대당 평균 약 53억 8668만원으로 대한항공(127억 616만원)이나 아시아나항공(162억 793만원)의 절반 수준에도 못 미쳤다. 제주항공의 항공기 평균 기령은 14.4년으로 대한항공 11.4년, 아시아나항공 12.3년보다 2~3년 많다. 에어부산 9.7년, 진에어 12.7년, 티웨이항공 13년 등 저비용항공사(LCC)와 비교해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손지연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