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3 (금)

尹 탄핵에도 지지층 견고한 與... '이재명 포비아'에 박근혜 학습효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보수 지지율 2주 연속 상승 30.6%
더불어민주당과 격차도 좁혀
국민 여론 멀어지며 '역풍' 우려
한국일보

14일 윤석열 대통령이 2차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후 관저에서 대국민담화를 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사법당국이 초유의 비상계엄을 강행한 윤석열 대통령에게 체포영장을 청구하고, 경제·외교가 흔들리는 상황에도 보수 강성 지지층은 오히려 '결집' 태세다. 국민의힘 지지율도 조금씩 반등하는 분위기다.

이는 보수층에 팽배한 ①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학습효과와 ②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포비아(공포감) 때문으로 풀이된다. 다만 국민의힘이 강성 지지층만 바라보다가 거센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비판도 상당하다.
한국일보

30일 서울 용산구 윤석열 대통령 관저 입구가 통제되고 있다. 이날 12·3 비상계엄 사태를 수사하는 공조수사본부(공조본)가 내란 우두머리 혐의를 받는 윤석열 대통령의 체포영장을 청구했다. 수사기관이 현직 대통령의 체포영장을 청구한 것은 헌정사상 최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민의힘 지지율 2주 연속 상승


30일 리얼미터 여론조사에 따르면 국민의힘 지지율은 전주보다 0.9%포인트 상승한 30.6%로 집계됐다. 12·3 비상계엄 직후 조사인 이달 둘째 주 25.7%에서 2주 연속 올랐다. 민주당과 국민의힘의 지지율 격차도 2주 동안 26.7%포인트에서 15.2%포인트로 좁혀졌다.

지난 20일 한국갤럽 여론조사에서도 국민의힘 지지율은 24%로 직전 주와 동일했다. 보수 콘크리트 지지층이 국민의힘을 떠받친 덕이다. 실제로 대구·경북 지역에서 국민의힘 지지율은 33%였고 △부산·울산·경남 36% △70대 이상 51% 등도 여전했다.

보수층의 ‘국민의힘 방탄지지'는 2016년 박근혜 전 대통령 국정농단 사태 때와는 사뭇 다른 모습이다. 갤럽 조사에 따르면 2016년 12월 박 전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에서 의결되자 새누리당(현 국민의힘) 지지율은 13%로 폭락했다. 민주당은 35%로 치솟으며 격차를 벌렸다.

박근혜 탄핵 학습효과에 이재명 포비아도 작용


이번 보수 방탄지지는 박 전 대통령 탄핵 학습효과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박 전 대통령 당시 새누리당은 내부 분열로 엉망진창이 됐었다”며 “보수층도 윤 대통령이 잘못했다고 생각하지만, 정당은 지켜야 한다는 학습효과에 결집하는 상황”이라고 했다.

‘이재명 포비아’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보수층은 윤 대통령을 엄호하고자 하는 게 아니라 이재명 대표가 대통령이 되는 상황을 막겠다는 것”이라며 “헌법재판관 임명을 미루는 것도 이 대표 사법리스크를 지켜봐야 한다는 생각 때문”이라고 했다.
한국일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0회 국회(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국무총리(한덕수) 탄핵소추안 투표를 마친 뒤 항의하는 국민의힘 의원들 뒤로 미소 지으며 이동하고 있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기대선 불가피... "변화 쇄신 나서야"


문제는 강성 지지층과 국민의힘 지도부가 똘똘 뭉쳐 '반성과 쇄신'보다 '야당과의 치킨게임'을 선택하게 했다는 것이다. 윤 대통령 탄핵심판을 늦추기 위해 헌법재판관 임명을 방해해 사회·경제 혼란를 가중시키고, 외교 공백을 장기화하고 있다는 비판이 무성하다.

국민 눈높이에서 멀어지면 보수가 자멸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국민의힘은 지난 4월 총선 당시 윤 대통령의 실정은 외면한 채 이재명 심판론만 외치다 참패했다. 김형준 배재대 석좌교수는 "국민 여론의 80%가 비상계엄이 잘못됐다고 응답하는 상황"이라며 "조기 대선이 불가피해 보이는 상황에서 국민의힘도 윤 대통령과의 관계를 정리하고 내부 계파를 정리하는 등 변화와 쇄신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지용 기자 cdragon25@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