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흥 지구 개요/사진=국토교통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경기도 광명·시흥시에 3기 신도시를 조성하는 지구계획이 승인됐다. 여의도 4.4배 면적에 총 6만7000가구가 공급된다. 이중 3만7000가구가 공공주택으로 건설돼 시민 주거안정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광명·시흥시에 걸친 약 1271만㎡ 면적에 조성하는 광명·시흥 공공주택지구(광명시흥 지구)의 지구계획을 승인했다고 30일 밝혔다.
광명시흥 지구는 KTX 광명역과 지하철 1호선(경인선)·7호선 등 철도 교통망이 우수하다.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 광명-서울고속도로(2027년 개통 예정) 등 도로교통 여건도 뛰어나다.
지구 북측으로는 가산·구로 디지털단지와 여의도 업무지구가 인접했다. 지구는 시화 멜티테크노밸리 등 산업단지에서 서울로 진입하는 관문에 위치하기도 했다. 지구 내 목감천이 흐르고 한남정맥과 수암봉이 있어 자연환경도 우수하다.
광명과 시흥에 걸친 지구에는 총 6만7000가구가 공급된다. 이중 3만7000가구가 공공주택(공공분양 1만3000가구, 공공임대 2만4000가구)으로 지어진다. 특히 청년과 신혼부부 등 주택 실수요자에게 시세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된다.
광명시흥 지구 위치도/사진=국토교통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구에는 도시의 자족기능과 주민 삶의 질을 높이도록 각종 인프라도 마련한다. 지구 북측에는 구로·가산 테크노밸리 등 AI(인공지능)와 소프트웨어 지식 산업과 연계가 쉽도록 자족 용지를 배치했다. 지구 중심부에는 주거 기능을 지원하는 상업·문화 위주 인프라 조성에 집중했다. 지구 남측에는 첨단 모빌리티, 의료·바이오·헬스 등 핵심 미래산업이 입주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했다.
목감천 주변 녹지축을 촘촘히 이어 서울 올림픽공원 3배 규모의 공원도 만든다. 지구 내 주요 간선도로에는 덮개공원을 조성해 보행 친화적 도시환경을 가꾼다.
한편 정부는 내년에도 건설형 공공주택 14만호 인허가 계획을 차질없이 이행하겠다는 방침이다. 3기 신도시 1만2000가구를 포함한 7만가구 이상의 공공주택 착공 계획도 계속 진행한다.
이용안 기자 king@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