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계양 사태 재연될지 긴장감
LH "분상제 준수" 밝혔지만
정부 실질적 관리대책 마련 필요
3기 신도시도 공사비 상승의 여파를 피해가지 못했다. 일부 사업장에서는 사업비가 40%까지 치솟았다. 시행사인 LH는 건설 원가 상승을 반영해 분양가 인상분을 부담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전문가들은 분양가 상승으로 인한 청약 포기 가능성을 우려하며 정부의 실질적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고양창릉 S6블록 사업비 40% 상승
2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고양창릉 공공주택지구 내 S5, S6, A4 블록의 사업계획 변경안이 승인됐다. 이곳 3개 블록의 총 사업비는 기존 9831억원에서 1조2608억원으로 약 2777억원(28.8%) 증가했다.
■청약포기 사태 재연되나
고양 창릉 세 개 블록 모두 사전청약을 진행한 사업지다. 전문가들은 고양창릉과 인천계양의 사례가 3기 신도시 전반의 정책 신뢰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사안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정부와 LH가 분양가 관리와 입주 시기 준수에 대한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LH는 최근 공공분양주택 사전청약 단지의 본청약 지연으로 인해 발생한 분양가 인상 문제에 대해 인상분을 부담하겠다는 입장이다. LH 관계자는 "본청약 시 분양가상한제를 준수하고 시세 대비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분양가를 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west@fnnews.com 성석우 기자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