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5 (수)

[최훈의 심리만화경] 하지마, 취중진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최훈 한림대 교수


연말이니 술자리가 는다. 사회가 변했다지만, 연말을 핑계 삼아 보고 싶었던 사람들과 술 한잔하는 낭만의 크기는 여전한 것 같다.

술의 기능 중 빼먹을 수 없는 것이 소통의 윤활유 역할이다. 낯선 사람들이 서먹하게 앉아 있다가도 술 한두 잔에 수다 삼매경에 빠지는 경험을 흔히 하지 않는가. 그러다 보니, 간혹 저지르기도 한다. 취중진담이라는 이름의 대형 사고를.

중앙일보

[사진 pixabay]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약물은 크게 각성제, 안정제, 환각제, 아편제의 4가지의 범주로 나눌 수 있다. 이중 술은 안정제에 속한다. 따라서 신경계의 활동을 억제하고 진정, 이완, 수면 유도, 불안 감소 등의 효과를 유도한다. 그런데 이 말에 고개를 갸웃하는 독자들도 있을 것이다. 술에 취하면 ‘부어라, 마셔라’ 하며 고래고래 소리를 지르고, 뭔가 정신줄을 놓아버리기 일쑤인데, 안정제? 차라리 각성제라고 하면 더 쉽게 받아들일 만하다.

술은 안정제가 맞다. 그래서 우리의 억제력까지 안정시킨다. 인지의 핵심적인 역량은 상황을 파악해서 가장 적절한 반응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적절하지 않은 반응을 걸러내고 억제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 억제력이 감소하면, 상황에 상관없이 마음에 떠오른 반응을 필터 없이 실현하게 된다. 평상시라면 주변을 고려해서 조금은 낮추었을 목소리를 마구 높이고, 참았을 만한 상대의 말에도 욱하며 인상을 쓰게 된다.

취중진담도 비슷하다. 약해진 억제력에 평상시 같으면 굳이 말하지 않았을 불만도 쏟아내고, 부하 직원의 단점도 “내가 정말 가족 같아서”라고 말하며 적나라하게 까발린다.

평상시 하지 못한 말이, 술을 마셨다고 새로운 가치를 갖는 것은 아니다. 술의 힘을 빌려야 할 수 있는 말은 안 하는 것이 맞다.

그럼 술 없이 어떻게 진심을 전달하냐고? 진심은 술이 없어도 전달되기 마련이다. 괜히 취중진담 운운하며 술 탓하지 말자. 술 먹고 할 일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고 있는 나의 판단력을 인정하고 조심하는 것이다.

최훈 한림대 교수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