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4 (화)

이슈 끊이지 않는 학교 폭력

"생이별 남편 찾아달라"…24년째 난민생활 르완다 여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인접국에 석유 사러 갔다가 정치적 이유로 귀국 못 하기도

30년 된 말라위 난민캠프 과밀화 심각…새 정착촌 조성 예정

연합뉴스

24년째 말라위 난민 캠프서 거주하는 르완다 출신 난민
(도와[말라위]=연합뉴스) 성도현 기자 = 24년째 말라위 난민 캠프 잘레카에서 거주하는 르완다 출신 난민 마쿠마나 프랑스와즈 씨가 지난 21일(현지시간) 유엔난민기구(UNHCR) 잘레카 사무실 앞에서 연합뉴스와 인터뷰를 한 뒤 포즈를 취하고 있다. 2024.12.24 raphael@yna.co.kr



(도와·릴롱궤[말라위]=연합뉴스) 성도현 기자 = "르완다 내전 때 정부가 남자들을 모두 데려갔어요. 남편을 찾으려 하면 저와 가족들도 데려갈 거라고 협박하는데 어쩔 도리가 있나요. 생이별이었죠."

말라위 유일의 난민 캠프인 잘레카에 2001년 정착한 르완다 난민 마쿠마나 프랑스와즈(50) 씨는 그날만 생각하면 아직도 온몸이 떨린다. 당시에 어떻게든 남편의 행방을 수소문했으면 상황이 달라지지 않았을까 싶어 지금도 후회한다.

지난 21일(현지시간) 난민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말라위 국토안보부의 사전 허가를 받아 잘레카 캠프를 직접 방문했다. 이곳에서 만난 프랑스와즈 씨는 "남편을 좀 찾아달라"며 기자의 두손을 잡고 애원했다.

후투족인 그는 1994년 르완다 내전 당시 탄자니아로 한 차례 몸을 피했다가 본국으로 돌아갔지만, 생명의 위협을 느껴 다시 짐을 쌌다. 남편 없이 자녀 8명과 함께 피란길에 올랐다.

이후 잘레카 캠프에 거주하며 2003년 난민 지위를 인정받았다. 2018년 잘레카 캠프를 떠나 제3국에 재정착하겠다고 요청했지만, 지금까지도 '기다리라'는 대답뿐이다.

프랑스와즈 씨는 "남편을 찾기 위해 르완다 교도소까지 연락하는 등 여러 경로로 알아봤지만,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했다"며 "생전에 남편을 다시 만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호소했다.

연합뉴스

말라위 유일 난민 캠프 '잘레카' 입구 모습
(도와[말라위]=연합뉴스) 성도현 기자 = 21일(현지시간) 말라위 유일의 난민 캠프인 잘레카 입구 모습. 2024.12.24 raphael@yna.co.kr


부룬디 출신 쿠비마나 엘리(37) 씨는 콩고민주공화국(DRC·민주콩고)에 석유를 사러 갔다가 하루아침에 난민 신청자 신세가 됐다. 정부와 같은 편이 아니라서 돌아가면 체포될 거라는 말을 듣고 아내와 세 자녀를 남겨둔 채 혼자 말라위로 넘어갔다.

부룬디대 회계학과를 졸업한 그는 지난 10월부터 임시 수용시설에 머물며 난민 심사를 기다리고 있다. 자신에게 배정된 공간(침실 포함 27㎡ 정도)을 보여주겠다는 그를 따라갔다.

바닥에는 옆 거주자 공간에서 흘러나온 듯한 소변 흔적이 남아있었고, 악취가 풍겼다. 비좁은 침실은 사람 한 명이 누울 수 있는 정도였다.

엘리 씨는 "열악한 환경이지만 누울 곳과 쉴 곳이 있고, 무엇보다도 생사 걱정을 하지 않을 수 있어서 다행"이라면서도 "가족들과 연락할 길이 없어서 답답하다. 가족들을 데려오고 싶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정치적 박해 피해 말라위 난민 캠프 온 부룬디 출신 난민 신청자
(도와[말라위]=연합뉴스) 성도현 기자 = 자국 내 정치적 박해를 피해 지난 10월 말라위 난민 캠프 잘레카로 온 부룬디 출신 난민 신청자 쿠비마나 엘리 씨가 21일(현지시간) 연합뉴스와 인터뷰를 한 뒤 자신의 임시 거주 공간을 소개하고 있다. 2024.12.24 raphael@yna.co.kr


캠프 거주자들은 유엔세계식량계획(WFP)을 통해 매달 1인당 1만7천500콰차(약 1만4천원)를 배급받아 생활한다. 배급받은 돈으로는 캠프 내에서 식료품 등을 구입할 수 있다.

커뮤니티 내 자투리땅을 텃밭으로 일궈 옥수수와 콩 등을 내다 파는 이들도 있다.

다만 캠프 정책상 거주자들은 허락 없이 부지를 벗어나서는 안 되며, 취업하거나 사업을 할 수도 없다. 공립학교와 대학에 다닐 권리도 주어지지 않는다.

이에 NGO를 중심으로 난민법을 개정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꾸준히 나오고 있다.

캠프에서 교육 및 심리·사회적 지원을 담당하는 단체 모데브스(MOHDEVS)의 교육 담당자 브위게인 음캄발라 씨는 "난민법에 이동과 교육, 노동의 자유 등의 권리를 신설해야 한다"며 "현행 정책은 난민을 고립시키고 기회를 제한한다"고 지적했다.

잘레카 캠프는 릴롱궤 시내에서 45km 떨어져 있다. 원래 교도소 자리였으나 말라위 정부가 1994년 부룬디, 르완다, 민주콩고에서 대량학살, 폭력, 전쟁 등으로 발생한 강제이주자 급증에 대응하고자 건립했고, 유엔난민기구(UNHCR)가 운영해왔다.

연합뉴스

보건소 소아과 진료 기다리는 말라위 난민 캠프 거주자들
(도와[말라위]=연합뉴스) 성도현 기자 = 말라위 난민 캠프 '잘레카' 거주자 및 인근 지역 말라위 주민들이 21일(현지시간) 잘레카 내 보건소 소아과 진료를 기다리고 있다. 2024.12.24 raphael@yna.co.kr


올해 11월 기준 잘레카 캠프에는 이들을 비롯해 5만6천436명의 난민 및 난민 신청자가 살고 있다. 민주콩고(64.9%), 부룬디(21.9%), 르완다(12.5%) 순으로 많다. 최대 1만2천명 수용을 염두에 두고 만들어졌기에 과밀화 문제가 심각한 편이다.

이에 따라 캠프 내 보건소에서 의료 서비스를 받기 위해 기다리는 시간이 길고, 1인당 하루에 14L의 물만 제공된다. 초등학교와 유치원 등 교육시설도 32곳에 불과하며, 화장실과 샤워실 등 위생시설도 턱없이 부족하다.

말라위 정부와 UNHCR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치티파 지역에 정착촌을 신설하기 위해 준비 중이다. 이곳은 잘레카 캠프(201ha)보다 넓은 439ha 규모로 조성되며 1만240가구, 5만1천200명을 수용하게 된다.

raphael@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