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024 대한민국 금융대상 공로상은 고승범 청소년금융교육협의회장(전 금융위원장·사진)에게 돌아갔다. 고 회장은 금융정책 분야에서 오랜 경력을 쌓은 경제관료 출신 전문가다. 기획재정부(옛 재무부), 금융위, 한국은행을 거치면서 경제·금융 현안을 꿰뚫으며 산업 발전에 이바지했다.
고 회장은 1985년 공직 생활을 시작한 이후 37년간 각종 위기를 극복하고 금융산업 성장판을 다지는 데 핵심 역할을 했다. 2003년 신용카드 대란, 2011년 저축은행 사태 등 위기 상황을 돌파할 수 있는 선 굵은 해결책을 내놨다. 특히 2021년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는 금융위원장으로 임명돼 경기 부진 속 시장 안정화에 힘썼다. 현재는 청소년금융교육협의회 회장으로서 청소년에게 다양한 금융교육 기회를 주며 미래 경제 역군을 육성하는 데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고 회장은 금융대상 공로상 수상 전 매일경제와 인터뷰하며 "그동안 금융 안정과 금융산업 발전이라는 두 핵심 가치를 중심으로 일했다"며 "이는 금융위의 미션(목표)이기도 한데, 이 같은 점이 반영돼 공로상을 받았다고 생각한다"고 소회를 밝혔다.
고 회장은 금융 안정과 금융산업 발전이 유기적으로 상호 작용해야 지속 가능한 국가 경제의 토대가 만들어진다고 강조했다. 두 가치가 동시에 함께 성장해야 나라 경제도 골고루 발전할 수 있다는 뜻이다.
고 회장은 금융 안정을 위해 가계부채를 적극적으로 관리하면서 '가계부채 저승사자'나 '뼛속까지 매파(긴축적 통화정책 선호)' 같은 별명이 붙기도 했다. 한은 금융통화위원으로 일하던 시절 매파 성향을 보였던 고 회장은 코로나19 국면에서 9개월간 금융위원장으로 재임할 때에는 가계부채와 전면전을 벌였다. 대출총량제 등을 강력하게 시행하면서 시중은행을 공격적으로 압박했다. 코로나19 이후 경제를 정상화하기 위해 가계부채를 선제적으로 관리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고 회장은 "가계부채는 꾸준히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지금 가계부채 등 경제 상황은 제가 금융위원장이었던 시절과 매우 다르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부채를 계속 관리해야 한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금융위원장 재직 당시 태동 단계에 불과했던 가상자산 제도화 작업도 맡아서 진행했다. 가상자산 사업자의 신고를 의무화한 특정거래금융법(특금법) 개정안이 통과되자 2021년 당시 이를 엄격하게 적용했다. 실명계좌를 발급받지 못한 다수 거래소가 사라지면서 업계 반발도 있었으나 결과적으로 가상자산 투자자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을 줄였다는 평가가 나온다. 그는 "가상자산 투자자 보호가 중요하다는 점을 당시에 강조했다"며 "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금융 제도가 마련돼야 한다고 믿었다"고 말했다.
공직에서 물러난 고 회장은 현재 청소년 금융교육에 집중하고 있다. 오랜 공직 생활을 통해 개별 국민의 금융교육 수준이 결국 국가의 경제 발전과 직결됨을 이해했기 때문이다. 그는 "2003년 무분별한 카드 남발로 인해 신용불량자가 늘어나고 신용카드 대출 부실 사태가 발생했다"며 "개인이 금융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하면 이는 국가의 경제적인 문제로 이어진다"고 전했다.
경제·금융교육과 관련해 고 회장은 "우리 청소년이 금융 관련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한 상태로 사회에 나가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금융교육을 받지 못한 청소년들은 금융사기와 빚투(빚내서 투자하는 행위)에 취약하다"며 "청소년들이 금융의 중요성과 금융상품 관련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힘쓰고 있는데, 앞으로는 교육 분야에서 국가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겠다"고 역설했다.
고승범 청소년금융교육협의회장
△1962년 서울 출생 △1984년 28회 행정고시 합격 △1985년 서울대 경제학과 졸업, 재무부·재정경제원 사무관 △1995년 미국 아메리칸대 경제학 박사 △2007년 금융감독위원회 기획행정실장 △2010년 금융위원회 금융서비스국장·금융정책국장·사무처장 △2016년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2021년 금융위원장
[이소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