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오늘 아침 신문' 시작합니다.
◀ 앵커 ▶
윤석열 탄핵을 외치는 국회 앞 집회에 이어 시민들이 헌법재판소로 눈을 돌려 재판관들에게 연하장을 쓰자는 운동이 시작되고 있다는 기사 먼저 보겠습니다.
◀ 앵커 ▶
한겨레입니다.
시민들이 헌법재판소에 '옳은 결정을 해달라'며 연하장을 보내는 운동에 나서고 있습니다.
소셜미디어에는 헌법재판소의 주소와 헌법재판관들의 이름, 약력 등이 적힌 글들이 공유되고 있고요.
연하장을 보낸 인증 사진을 올리면 한강 작가의 책이나 좋아하는 가수의 앨범을 선물로 준다는 글도 있는데요.
당시 탄핵을 서둘러 인용해달라며 1만 통 이상의 연하장이 전달되기도 했는데요.
평소 하루 1개에서 3개의 게시물이 올라오던 헌법재판소 누리집 자유게시판에는 어제 오후 2시까지 4만 2400여 건을 넘어섰고요.
"그저 사랑하는 사람들이 안전하고 자유롭게 살아갈 수 있는 나라에서 살고 싶을 뿐"이라며 "헌법과 민주주의를 수호하는 결정을 내려달라"는 게시글들이 올라왔습니다.
◀ 앵커 ▶
한겨레 기사 하나 더 보겠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 가결 뒤 윤 대통령의 흔적 지우기가 전국 곳곳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경기도 의정부의 부대찌개 집에선 윤 대통령 친필 액자가 사라졌고, 강원도 춘천의 닭갈비 식당에서는 윤 대통령과의 기념사진이 자취를 감췄는데요.
대구에서도 윤 대통령이 여섯 차례나 찾았던 서문시장 곳곳에서 윤 대통령의 펼침막과 친필 서명을 떼어내고 있습니다.
민주노총 경남본부는 윤 대통령의 글씨가 담긴 기념비에 검은색 페인트로 '내란'이라는 글을 새겼고요.
광주광역시와 경기도, 대전 등에서는 "윤석열의 국정 운영 목표를 인정할 수 없다"며 국정 지표나 국정 운영 목표가 담긴 액자를 철거했습니다.
◀ 앵커 ▶
이어서 경향신문입니다.
서울 은평구의 한 고등학교에서 12·3 비상계엄 사태를 규탄하는 학생들의 시국 선언문을 내리도록 요구한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이 학교 학생들은 '우리는 침묵하지 않는다'는 시국 선언문에 168명이 이름을 올렸는데요.
학교 교장은 "학생 개개인이 탄핵 반대 정치세력에게 공격받을 수 있다"며 실명을 내리라고 했고요.
실명을 지우고 총학생회 명의로 올리자, '정치 관여금지' 학칙을 빌미로 선언문을 내리라고 요구했습니다.
'정치 관여 행위'에 퇴학 처분까지 할 수 있다는 학칙이 학생들 사이에 공유되면서 시국선언문은 다시 내려졌습니다.
서울시교육청은 2020년부터 선거연령이 만 19세에서 만 18세로 낮아지면서 학생들의 정치활동을 제한하는 학칙을 개정하라고 각 학교에 알린 바 있는데요.
이 학교는 '정치관여행위 금지'를 유지했습니다.
청소년인권행동은, 정당 가입이 가능한 나이가 만 16세로 낮아져 대부분 고교생의 정당 활동이 가능한데, 학교 측이 청소년들의 정치 참여를 막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 앵커 ▶
다음은 동아일보입니다.
'필요한 것은 하나뿐'이라는 영어 문장의 약자인 요노가 뜨고 있다는데요.
불필요한 물건 구매를 자제하고 꼭 필요한 것만 사는 소비자를 일컫는 말입니다.
경기 불황으로 소비 침체가 깊어지는 가운데 가격뿐 아니라 품목, 품질 등을 두루 따지는 '요노족'이 증가하면서 가격 대비 성능이 좋은 가성비 브랜드들이 '불황 대목'을 맞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가성비 브랜드로 꼽히는 다이소는 올해 연 매출 4조 원을 돌파할 전망이고, 매장도 공격적으로 확장하고 있는데요.
패션업계에서는 저렴한 가격을 앞세운 브랜드들이 잇따라 호실적을 내고 있고요.
폐업률이 늘고 있는 커피전문점 시장에서도 대용량 아메리카노를 판매하는 저가 커피 브랜드들이 상승세입니다.
메가커피는 올해 매장이 600개 넘게 늘며 3천3백 곳을 돌파했고, 빽다방도 273개가 늘었는데요.
경기불황이 이어지며 가성비를 따지는 소비자들이 늘어나 이 같은 흐름이 지속될 것이라고 신문은 내다봤습니다.
◀ 앵커 ▶
끝으로, 지역 신문 기사 살펴보겠습니다.
대전일보입니다.
탄핵 정국 속에서 조기 대선이 가시화되면서 세종시 대통령실이 뜨고 있습니다.
전면으로 개방된 청와대와 졸속 이전 논란을 빚은 용산 대신에 대통령실 제2집무실 설치를 앞둔 세종시가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데요.
다만 오는 2027년 하반기인 대통령 제2집무실 완공 시점을 최대한 앞당겨야 하고요.
'세종시가 행정수도'라고 명문화하는 개헌을 할 수 있을지 여부가 관건인데요.
헌법재판소가 2004년, '국회와 대통령 소재지'가 수도라며 신행정수도건설 특별법에 위헌 판결을 내렸기 때문입니다.
우원식 국회의장을 비롯해 여야가 이미 개헌 필요성에 공감대를 형성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지금까지 '오늘 아침 신문'이었습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오늘 아침 신문' 시작합니다.
◀ 앵커 ▶
윤석열 탄핵을 외치는 국회 앞 집회에 이어 시민들이 헌법재판소로 눈을 돌려 재판관들에게 연하장을 쓰자는 운동이 시작되고 있다는 기사 먼저 보겠습니다.
◀ 앵커 ▶
한겨레입니다.
◀ 앵커 ▶
시민들이 헌법재판소에 '옳은 결정을 해달라'며 연하장을 보내는 운동에 나서고 있습니다.
소셜미디어에는 헌법재판소의 주소와 헌법재판관들의 이름, 약력 등이 적힌 글들이 공유되고 있고요.
연하장을 보낸 인증 사진을 올리면 한강 작가의 책이나 좋아하는 가수의 앨범을 선물로 준다는 글도 있는데요.
탄핵 연하장 보내기 운동은 앞서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 때도 있었습니다.
당시 탄핵을 서둘러 인용해달라며 1만 통 이상의 연하장이 전달되기도 했는데요.
평소 하루 1개에서 3개의 게시물이 올라오던 헌법재판소 누리집 자유게시판에는 어제 오후 2시까지 4만 2400여 건을 넘어섰고요.
"그저 사랑하는 사람들이 안전하고 자유롭게 살아갈 수 있는 나라에서 살고 싶을 뿐"이라며 "헌법과 민주주의를 수호하는 결정을 내려달라"는 게시글들이 올라왔습니다.
매일 저녁 헌법재판소를 향해 행진하는 윤석열 대통령 파면 촉구 집회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헌재 주변 나들이 코스, 맛집 등도 공유되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 앵커 ▶
한겨레 기사 하나 더 보겠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 가결 뒤 윤 대통령의 흔적 지우기가 전국 곳곳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부산의 한 떡볶이집에서는 벽면에 있던 단체 사진에서 윤 대통령의 사진에만 테이프를 붙여 가렸고요.
경기도 의정부의 부대찌개 집에선 윤 대통령 친필 액자가 사라졌고, 강원도 춘천의 닭갈비 식당에서는 윤 대통령과의 기념사진이 자취를 감췄는데요.
대구에서도 윤 대통령이 여섯 차례나 찾았던 서문시장 곳곳에서 윤 대통령의 펼침막과 친필 서명을 떼어내고 있습니다.
민주노총 경남본부는 윤 대통령의 글씨가 담긴 기념비에 검은색 페인트로 '내란'이라는 글을 새겼고요.
광주광역시와 경기도, 대전 등에서는 "윤석열의 국정 운영 목표를 인정할 수 없다"며 국정 지표나 국정 운영 목표가 담긴 액자를 철거했습니다.
◀ 앵커 ▶
이어서 경향신문입니다.
서울 은평구의 한 고등학교에서 12·3 비상계엄 사태를 규탄하는 학생들의 시국 선언문을 내리도록 요구한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이 학교 학생들은 '우리는 침묵하지 않는다'는 시국 선언문에 168명이 이름을 올렸는데요.
학교 교장은 "학생 개개인이 탄핵 반대 정치세력에게 공격받을 수 있다"며 실명을 내리라고 했고요.
실명을 지우고 총학생회 명의로 올리자, '정치 관여금지' 학칙을 빌미로 선언문을 내리라고 요구했습니다.
'정치 관여 행위'에 퇴학 처분까지 할 수 있다는 학칙이 학생들 사이에 공유되면서 시국선언문은 다시 내려졌습니다.
서울시교육청은 2020년부터 선거연령이 만 19세에서 만 18세로 낮아지면서 학생들의 정치활동을 제한하는 학칙을 개정하라고 각 학교에 알린 바 있는데요.
이 학교는 '정치관여행위 금지'를 유지했습니다.
청소년인권행동은, 정당 가입이 가능한 나이가 만 16세로 낮아져 대부분 고교생의 정당 활동이 가능한데, 학교 측이 청소년들의 정치 참여를 막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 앵커 ▶
다음은 동아일보입니다.
'필요한 것은 하나뿐'이라는 영어 문장의 약자인 요노가 뜨고 있다는데요.
불필요한 물건 구매를 자제하고 꼭 필요한 것만 사는 소비자를 일컫는 말입니다.
경기 불황으로 소비 침체가 깊어지는 가운데 가격뿐 아니라 품목, 품질 등을 두루 따지는 '요노족'이 증가하면서 가격 대비 성능이 좋은 가성비 브랜드들이 '불황 대목'을 맞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가성비 브랜드로 꼽히는 다이소는 올해 연 매출 4조 원을 돌파할 전망이고, 매장도 공격적으로 확장하고 있는데요.
패션업계에서는 저렴한 가격을 앞세운 브랜드들이 잇따라 호실적을 내고 있고요.
폐업률이 늘고 있는 커피전문점 시장에서도 대용량 아메리카노를 판매하는 저가 커피 브랜드들이 상승세입니다.
메가커피는 올해 매장이 600개 넘게 늘며 3천3백 곳을 돌파했고, 빽다방도 273개가 늘었는데요.
경기불황이 이어지며 가성비를 따지는 소비자들이 늘어나 이 같은 흐름이 지속될 것이라고 신문은 내다봤습니다.
◀ 앵커 ▶
끝으로, 지역 신문 기사 살펴보겠습니다.
대전일보입니다.
탄핵 정국 속에서 조기 대선이 가시화되면서 세종시 대통령실이 뜨고 있습니다.
전면으로 개방된 청와대와 졸속 이전 논란을 빚은 용산 대신에 대통령실 제2집무실 설치를 앞둔 세종시가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데요.
다만 오는 2027년 하반기인 대통령 제2집무실 완공 시점을 최대한 앞당겨야 하고요.
'세종시가 행정수도'라고 명문화하는 개헌을 할 수 있을지 여부가 관건인데요.
헌법재판소가 2004년, '국회와 대통령 소재지'가 수도라며 신행정수도건설 특별법에 위헌 판결을 내렸기 때문입니다.
우원식 국회의장을 비롯해 여야가 이미 개헌 필요성에 공감대를 형성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지금까지 '오늘 아침 신문'이었습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