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요즘 대통령 탄핵촉구 집회에서 특히 주목받는 시민들이 바로 응원봉을 앞세운 10대, 20대 이른바 MZ세대인데요.
이들은 이렇게 사회문제에 침묵하지 않고 적극 나서게 된 배경으로 세월호 참사와 이태원 참사를 꼽았습니다.
청소년기와 청년기에 두 번의 대형참사를 겪고 부조리를 느끼면서 불의를 보고 가만히 있으면 안 된다는 걸 체화하게 됐다는데요.
남효정 기자가 집회 현장에서 이들의 목소리를 들어봤습니다.
◀ 리포트 ▶
형형색색 응원봉과 함께 노란색 리본과 깃발들이 등장했습니다.
세월호참사를 추모하던 노란 리본을 다시 들고 나온 건 주로 10대 청소년과 20대 청년들.
학창시절 세월호참사를 겪은 이들은 국가가 국민을 향해 총부리를 겨눈 내란 사태를 지켜보며 침몰하는 뱃속에서 '가만히 있으라'고 했던 세월호참사를 떠올렸습니다.
"저도 (희생자들과 동갑인) 97년생인데 스무살 때부터 박근혜 국정농단 때 집회에 나왔던‥ 국민을 농락하고 위협하는 것들을 지켜보며 집회에 참가하고."
[김은총]
"또래 친구들이 많이 죽는 걸 보면서 '국가 시스템이 우리를 지켜주지 않는구나'라는 경험을…"
서울 한복판에서 하룻밤에 159명의 청춘이 스러져간 이태원참사는 또 다른 세월호참사였습니다.
국민을 지켜주지 않은 국가.
이뤄지지 않은 책임자 처벌.
똑같이 재연된 참사의 모습은 불의한 국가 권력의 부조리를 온몸으로 느끼게 했습니다.
[김준호]
"이태원 참사가 제가 정치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가 됐습니다. 정부가 제대로 책임을 지지 못해서 수많은 사람들이 억울하게 죽음을 당했다는 생각에 정말 분노했던 것 같습니다."
지켜주지 못했다는 미안함.
더 이상 가만히 있어서는 안 된다는 다짐은 민주주의를 무너뜨린 내란 앞에서 이들을 거리로 나서게 했습니다.
[왕태운]
"역사 공부를 하면서 우리나라의 민주화 정신같은 걸 공부하게 되면서 이렇게 국민이 참여를 해야 정치인들이 열심히 일하고 국가를 똑바로 바로 세울 수 있겠구나."
계엄선포 직후 실시된 여론 조사에서 만 18세부터 29세까지의 탄핵 찬성 여론은 다른 모든 세대를 압도하는 86.8%.
[정유진]
"청년을 위한 사업같은 것도 많이 없애버리기도 했고. 그들을 위한 나라를 만들고 있지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최병후]
"국가가 너무나도 국민에 대해서 소홀하게 대처하는 것이 아닌가. 젊은 세대들이 겪는 고통을 이렇게 묵과하고."
취업도, 결혼도, 내집 마련도, 무엇 하나 버겁지 않은 게 없는 이들은 이제 문제를 스스로 바로잡고자 합니다.
[구정우/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국가가 무능하다, 무책임하다' 이런 거를 느끼면서 성장한 세대예요. 계엄 사태와 탄핵 국면을 보는 느낌이 남다를 수밖에 없고. 민주주의를 지키고 또 확장시키는 그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참사의 비극을 온몸으로 겪으며 스스로 나서지 않으면 지킬 수 없다는 걸 체화한 이들은 이제 당당히 행동하는 민주주의 세대가 되어 거리의 맨 앞에 서 있습니다.
MBC뉴스 남효정입니다.
영상취재: 강종수 / 영상편집: 송지원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영상취재: 강종수 / 영상편집: 송지원 남효정 기자(hjhj@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요즘 대통령 탄핵촉구 집회에서 특히 주목받는 시민들이 바로 응원봉을 앞세운 10대, 20대 이른바 MZ세대인데요.
이들은 이렇게 사회문제에 침묵하지 않고 적극 나서게 된 배경으로 세월호 참사와 이태원 참사를 꼽았습니다.
청소년기와 청년기에 두 번의 대형참사를 겪고 부조리를 느끼면서 불의를 보고 가만히 있으면 안 된다는 걸 체화하게 됐다는데요.
남효정 기자가 집회 현장에서 이들의 목소리를 들어봤습니다.
◀ 리포트 ▶
윤 대통령 탄핵을 외치는 국회 앞 집회 현장.
형형색색 응원봉과 함께 노란색 리본과 깃발들이 등장했습니다.
세월호참사를 추모하던 노란 리본을 다시 들고 나온 건 주로 10대 청소년과 20대 청년들.
학창시절 세월호참사를 겪은 이들은 국가가 국민을 향해 총부리를 겨눈 내란 사태를 지켜보며 침몰하는 뱃속에서 '가만히 있으라'고 했던 세월호참사를 떠올렸습니다.
[이수빈]
"저도 (희생자들과 동갑인) 97년생인데 스무살 때부터 박근혜 국정농단 때 집회에 나왔던‥ 국민을 농락하고 위협하는 것들을 지켜보며 집회에 참가하고."
[김은총]
"또래 친구들이 많이 죽는 걸 보면서 '국가 시스템이 우리를 지켜주지 않는구나'라는 경험을…"
서울 한복판에서 하룻밤에 159명의 청춘이 스러져간 이태원참사는 또 다른 세월호참사였습니다.
국민을 지켜주지 않은 국가.
묻혀버린 진실 규명.
이뤄지지 않은 책임자 처벌.
똑같이 재연된 참사의 모습은 불의한 국가 권력의 부조리를 온몸으로 느끼게 했습니다.
[김준호]
"이태원 참사가 제가 정치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가 됐습니다. 정부가 제대로 책임을 지지 못해서 수많은 사람들이 억울하게 죽음을 당했다는 생각에 정말 분노했던 것 같습니다."
국가를 위해 목숨을 바쳤지만 국가로부터 외면받은 고 채수근 상병 순직 사건은 행동의 중요성을 일깨워주었습니다.
지켜주지 못했다는 미안함.
더 이상 가만히 있어서는 안 된다는 다짐은 민주주의를 무너뜨린 내란 앞에서 이들을 거리로 나서게 했습니다.
[왕태운]
"역사 공부를 하면서 우리나라의 민주화 정신같은 걸 공부하게 되면서 이렇게 국민이 참여를 해야 정치인들이 열심히 일하고 국가를 똑바로 바로 세울 수 있겠구나."
계엄선포 직후 실시된 여론 조사에서 만 18세부터 29세까지의 탄핵 찬성 여론은 다른 모든 세대를 압도하는 86.8%.
[정유진]
"청년을 위한 사업같은 것도 많이 없애버리기도 했고. 그들을 위한 나라를 만들고 있지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최병후]
"국가가 너무나도 국민에 대해서 소홀하게 대처하는 것이 아닌가. 젊은 세대들이 겪는 고통을 이렇게 묵과하고."
취업도, 결혼도, 내집 마련도, 무엇 하나 버겁지 않은 게 없는 이들은 이제 문제를 스스로 바로잡고자 합니다.
[구정우/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국가가 무능하다, 무책임하다' 이런 거를 느끼면서 성장한 세대예요. 계엄 사태와 탄핵 국면을 보는 느낌이 남다를 수밖에 없고. 민주주의를 지키고 또 확장시키는 그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참사의 비극을 온몸으로 겪으며 스스로 나서지 않으면 지킬 수 없다는 걸 체화한 이들은 이제 당당히 행동하는 민주주의 세대가 되어 거리의 맨 앞에 서 있습니다.
MBC뉴스 남효정입니다.
영상취재: 강종수 / 영상편집: 송지원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영상취재: 강종수 / 영상편집: 송지원 남효정 기자(hjhj@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