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2 (목)

불소화학 산업 발전 기여한 故 박달조 박사 등 6인 과학기술 유공자 됐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과기정통부, 2024년도 과기유공자
박성현·심문택·이서구·채영복·최남석
대한민국 과학발전 이끈 석학들 선정


매일경제

상단 왼쪽부터 이서구 이화여자대 석좌교수, 박성현 서울대 명예교수, 고 최남석 LG화학기술연구원 전 원장. 하단 오른쪽부터 채영복 원정연구원 이사장, 박달조 박사, 심문택 국방과학연구소 전 소장.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불소 화학 분야 세계적 권위자 국내 불소화학 산업 발전에 기여한 고(故) 박달조 박사 등 6인이 2024년도 과학기술유공자로 지정됐다. ‘세계 일류의 공업한국’을 꿈 꾼 박달조 박사는 한국과학원(현 KAIST) 제 2대 원장을 역임하며 응용과학 중심의 인재 양성 기반을 마련했다는 기여를 인정받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4년도 과학기술유공자 선정결과를 12일 발표했다. 박 박사를 비롯해 박성현 서울대 명예교수, 고 심문택 국방과학연구소 전 소장, 이서구 이화여자대 석좌교수, 채영복 원정연구원 이사장, 고 최남석 LG화학기술연구원 전 원장이 선정됐다.

박성현 명예교수는 국내에 현대 통계학을 도입하고, 통계적 품질관리 등 산업현장에 통계학을 적용해 생산성 향상에 기여했다. 다양한 통계학 관련 저서를 발간하고 국내 통계학 학문체계를 확립하는 등 세계적으로 통계학 분야의 석학으로 인정받는다.

심문택 전 소장은 한국 국방과학기술의 기틀을 마련하고, 국방 연구개발(R&D)을 이끌어 국방력 강화에 기여했다. 번개사업, 백곰 미사일 개발, 율곡사업 등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자주국방 확립과 방위산업 발전에 공헌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재직 시에는 국가산업 기초조사와 기계공업 육성방안 등 정책연구에 참여해 국내 중화학공업 발전계획 수립에 기여했다.

이서구 석좌교수는 세포 신호전달 연구의 선구자로, 세포 내 신호전달의 기본 물질인 인지질분해효소(PLC)를 처음으로 분리정제하고 유전자를 찾아내어 세포신호전달에 참여하는 기전을 규명했다. 과산화수소의 세포 내 역할 규명, 새로운 항산화효소 퍼옥시레독신(Prx)을 발견하는 등 세포 신호전달 분야 연구를 선도하고, 후학 양성을 통해 국내 생명과학 연구 수준 향상에 기여했다.

채영복 이사장은 생리활성 화합물의 새로운 합성법을 개발하여 수입에 의존하던 정밀화학제품의 국산화에 기여하고 관련 산업 발전의 토대를 구축했다. 과학기술 행정가로 과학기술인공제회 설립,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 조성, 최고과학기술인상 제정, 국가기술지도(NTRM) 작성 등을 통해 과학기술인 복지증진 및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 제고에 기여했다.

최남석 전 원장은 오디오·비디오테이프 기초 소재인 폴리에스터 필름을 국내 최초로 개발해 생산 국산화에 기여했다. 고분자 물질인 ‘크로노머’ 합성에 최초 성공해 약물 전달 분야 발전에도 이바지했다. 바이오 분야, 정보전자소재 분야, 정밀화학 분야 산업화의 초석을 마련하고, 혁신적인 연구풍토를 만들어 국내 바이오 업계의 인재들을 길러냈다.

과학기술유공자 제도는 대한민국 과학기술 발전에 이바지한 공적인 큰 과학기술인을 과학기술유공자로 지정하고 예우·지원함으로써, 과학기술인의 명예와 긍지를 높이고 과학기술인이 존중받는 사회문화를 조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2017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심사에는 학문적 업적 및 연구개발 성과와 함께 국가·사회발전에 대한 기여도가 고려된다. 올해 선정된 6인을 포함해 현재까지 91인의 과학기술유공자가 선정됐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과학기술유공자의 헌신과 열정이 대한민국 과학기술의 위상을 높이고 미래 세대에게 큰 귀감이 되고 있다”며 “국가·사회 발전에 공헌한 과학기술인들이 더욱 존중받을 수 있도록 국가 차원의 예우와 다양한 콘텐츠를 통한 업적홍보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