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류업 기준 되는 CET 13% 방어 난관 예상
스트레스완충자본 부담에 당국도 '속도 조절'
서울 시내에 설치된 시중은행 ATM 기기 모습. 2024.11.13/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박동해 기자 = 국내 정치 상황의 영향으로 달러·원 환율이 치솟으면서 금융지주들의 보통주자본비율(CET1) 방어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환율 급등에 자본비율 악화로 주주환원정책을 당초 계획대로 추진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지난 11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원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5.3원 오른 1432.2원에 마감했다. 지난주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령 발표 이후 안정세를 보이는 듯했으나 주말 탄핵안이 부결되고 불활식성이 높아지면서 다시 오르기 시작했다.
환율이 오르면서 금융지주가 보유하고 있는 외화 위험가중자산에 영향이 불가피해 자본비율이 하락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시장에서는 환율이 10원 오를 때마다 금융지주의 CET1이 0.02%p 정도 하락한다고 보고 있다.
지난 9월 말 환율이 1320원대였던 것을 감안하고 연말까지 환율 흐름이 이어진다면 단순 계산했을 때 0.2%p의 이상의 비율의 하락이 예상된다.
금융감독원이 지난달 27일 발표한 3분기 은행지주의 CET1 평균치는 13.02%다. 금융당국의 규제비율인 8%를 웃돌고 있지만 권고치로 알려진 13%를 턱걸이하는 수준이다.
이 중 5대 금융지주 CET1은 KB지주 13.85%, 신한지주 13.13%, 하나지주 13.17%, 우리지주 11.96%, 농협지주 13.11%다. 환율의 영향을 고려하면 5대 금융지주 중 다수가 13%대를 방어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물론 각 지주별로 보유 외환 자산 규모가 다르기 때문에 환율 변화에 따른 영향이 다를 수 있다.
CET1은 금융지주의 주주환원 정책의 기준이 된다. 보통 13% 이상이 될 때 금융지주는 적극적인 주주환원정책에 나선다. 실제 금융지주사들이 발표한 기업가치제고(밸류업)계획 등을 보면 CET1이 13%를 넘어설 때 주주환원을 본격적으로 확대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환율 불안정성이 이어지면 주주환원을 바탕으로 한 금융지주의 밸류업 계획에도 차질이 불가피해 보인다.
이에 더해 금융당국이 은행과 금융지주에 대한 건전성을 제고하기 위해 스트레스완충자본을 부과할 예정이라 금융지주들이 가지는 부담은 더 커질 전망이다. 스트레스완충자본 적용 시 금융지주의 CET1 규제비율이 최대 11.5%까지 오르게 된다. 스트레스완충자본을 포함한 최저자본 규제비율을 준수하지 못하며 이익배당, 상여금 지급 등이 제한될 수 있다.
이런 상황에 이복현 금감원장은 지난 9일 열린 금융상황 점검회의에서 "환율 상승 및 위험가중자산 증가에 따른 자본비율 영향도 세밀히 점검하고 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 원장은 환율 급증에 따른 은행권의 완충자본 비율 규제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자 11일 열린 점검회의에서는 직원들에 "국가별 재량권 범위내에서 글로벌 수준과 비교해 합리적 수준으로 개선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규제 도입 속도조절을 주문한 것이다.
은행권은 치솟는 환율에 대비해 자본비율에 대한 영향력을 줄이기 위한 조치에 나서고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외화자산·부채 관련 이익 등 자본부문 영향까지 감안하면 하락 폭은 일부 상쇄 가능하다"라며 "환율 급변동 상황 발생에 대비하여, 위험가중자산의 환율민감도를 축소하여 자본비율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관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potgus@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