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노르웨이 오슬로서 수상식
연설문서 한인 원폭 피해자들 언급하기도
日정부,축하하면서도 “북핵에 美확장억제 필요”
연설문서 한인 원폭 피해자들 언급하기도
日정부,축하하면서도 “북핵에 美확장억제 필요”
노벨평화상 시상식이 열린 10일(현지시간) 오전 올해 수상자인 니혼히단쿄(일본 원수폭피해자단체협의회)의 대표단이 시상식에 앞서 노르웨이 오슬로 그랜드호텔에서 단체 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10일(현지시간) 노르웨이에서 열린 노벨평화상 시상식에서 수상자인 일본 원폭 피해자 단체 ‘니혼히단쿄’가 일본 정부의 원폭 피해 보상 책임과 한국인의 피해에 대해 언급했다.
니혼히단쿄를 대표해 수상 연설을 한 다나카 데루미 대표위원은 이날 니혼히단쿄를 출범했을 때 두 가지 기본 요구사항이 있었다면서 다음과 같이 밝혔다.
그는 “첫 번째는 전쟁을 시작하고 수행한 국가가 원폭에 의한 피해에 대해 희생자에게 보상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이는 ‘전쟁의 희생은 온 국가가 평등하게 감내해야 한다’는 일본 정부의 주장에 반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다른 하나의 요구사항은 인류와 공존해서는 안 되는 극도로 비인도적인 대량파괴 무기인 핵무기의 즉각적 폐기를 요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다나카 위원은 ‘피폭자에 대한 원호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기까지 과정을 전하면서 “이런 법률은 오랫동안 국적과 관계없이 해외 거주 원폭 피해자엔 적용되지 않았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그는 “일본에서 피폭돼 고국에 돌아간 한국인 피폭자들과 전후 미국과 브라질, 멕시코, 캐나다 등지로 이주한 많은 피폭자는 피폭자 특유의 병, 원폭 피해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고통받았다”고 덧붙였다.
다나카 위원은 13세이던 1945년 8월 9일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이 투하됐을 때 나가사키 자택에 있었고 가족 5명을 잃었다. 이와관련 그는 “당시 내가 본 것은 도저히 인간의 죽음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이었다”며 “전시라고 해도 이런 살인은 절대로 허용돼선 안된다고 강하게 느꼈다”고 말했다.
또한 “상상해 보라. 즉각 발사될 준비가 된 핵탄두가 4000개다. 이는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서 발생했던 것보다 수백, 수천 배 더 큰 피해가 당장도 가능하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핵무기 제거를 위해 뭘 해야 할지 함께 논의하고 각국 정부에 행동을 요구하기를 전 세계 모두에게 청한다”며 “핵무기금지조약(TPNW)을 더 보편화하고 핵무기 폐지를 위한 국제 협약을 결성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니혼히단쿄는 이번 시상식 대표단 30여 명 중 한국인 원폭 피해자인 정원술 한국원폭피해자협회 회장과 원폭 피해 2세인 이태재 한국원폭피해자 후손회 회장도 포함했다. 이 단체는 1967년 사토 에이사쿠 일본 총리가 선언했던 ‘핵무기를 제조하지도, 보유하지도, 반입하지도 않는다’는 비핵 3원칙을 일본 정부가 계속 지킬 것을 촉구해 왔다.
한편, 같은날 일본 정부는 니혼히단쿄의 노벨평화상 수상에 대해 매우 의미 있다고 강조하면서도 안보상 미국의 확장억제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일본 정부 대변인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이날 회견에서 “니혼히단쿄가 노벨평화상이라는 명예로운 상을 받는 것은 매우 의미 있다”며 “오랜 노력에 진심으로 경의를 표하고 수상에 축하의 마음을 전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그는 히단쿄가 주장해 온 ‘핵무기 없는 세상’에 대해 일본 정부는 다른 입장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분명히 했다. 하야시 장관은 “핵·미사일 개발을 추진하는 북한을 비롯해 일본이 전후 가장 엄중하고 복잡한 안보 환경에 직면해 있는 상황에서 핵을 포함한 억지가 안전보장을 확보해 가는 데 기초가 된다는 생각에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또 미국과 확장억제 협의를 통해 “신뢰성을 유지,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언급했다.
나카타니 겐 방위상도 이날 회견에서 히단쿄의 노벨평화상 수상에 환영의 뜻을 나타내는 한편 “현실에 핵무기 위협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미국이 제공하는 확장억제는 불가결 하다”라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