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제주간지 '차이신 주간' 최신호가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 시도를 커버스토리로 싣고 쿠데타이자 정치실험으로 규정했다. 차이신캡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중국 매체는 8일 한국 국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안 무산에 따른 향후 정국의 추이를 예의주시했다.
이날 관영 신화사와 중국중앙방송(CC-TV) 등은 김용현 전 국방장관 체포,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의 담화 등 실시간으로 속보를 타전했다. 특히 앞서 야당이 발의한 탄핵안의 사유에 현 정부가 “중국을 적대시했다”는 대목에 주목했다. 신화사 산하의 SNS 뉴탄친(牛彈琴)은 “탄핵안이 한국의 보수와 혁신 세력이 외교에서 존재하는 완전히 상반되는 가치관을 드러냈다”고 전했다. 매체는 “탄핵안은 윤석열이 ‘북한과 중국, 러시아를 적대시하고, 일본 중심의 기이한 외교정책을 고집하여 일본에 경도된 인사를 정부 주요직위에 임명했다’며 친일외교 정책이 ‘전쟁의 위기를 촉발했다’고 비난했다”고 강조했다.
광저우 일간지 남방도시보(南方都市報)’는 이날 “향후 윤석열이 하야하더라도 차기 대선을 둘러싼 여야 정당 사이에 새로운 정쟁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했다. 매체는 “윤석열 탄핵안 표결이 통과하지 못했다”는 제목의 전면 기사에서 한국 여당이 탄핵에 반대하는 이유, 여당이 윤 대통령에게 탈당을 요구하는 이유, 윤 대통령의 하야가 불러올 영향 등을 분석했다. 중국 외교부 산하 싱크탱크인 중국국제문제연구원의 샹하오위(項昊宇) 연구원은 남방도시보에 “여당이 탄핵안에 어떤 입장을 취하건 여야 사이의 갈등은 풀 수 없다”며 “이는 한국 진보파와 보수파의 정치 이념과 정책 노선의 차이가 결정한 갈등이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8일 중국 광저우에서 발간되는 일간지 남방도시보가 전날 여의도에서 펼쳐진 윤석열 퇴진 요구 시위 사진과 관련 기사를 전면에 게재했다. 남방도시보 캡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중국 경제 주간지 차이신주간(財新周刊)은 '서울 6시간의 사변'이란 제목의 커버스토리에서 윤 대통령의 계엄령 발동을 ‘쿠데타’이자 '대형 정치실험'으로 규정했다. 차이신은 헨리 해거드 전 주한 미국 대사관 정무공사를 인용해 “권위주의에 한국 국민은 매우 민감하다”며 “민주주의를 수호하려는 한국 민중의 집착을 절대로 낮게 평가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또한 기무라 간(木村幹) 일본 고베대 교수를 인용해 “탄핵 절차가 늦어지면 여야 진영 모두 경선을 거치면서 이재명 역시 스캔들과 사법 소송으로 낙마할 수 있지만, 만약 윤석열이 사임하거나 탄핵안이 빨리 통과된다면 이재명과 한동훈 현 정당 대표가 우세를 점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은 미국 반응도 주목했다. 한반도 전문가인 정지융(鄭繼永) 중국 푸단(復旦)대 한반도연구센터 주임은 “미국은 자기 이익을 실현하기 위해 여전히 한국을 이용할 것이지만 어느 정도 안정이 유지 될 경우에만 가능하다”라며 “미국이 윤석열을 버릴 수는 있어도 한국을 포기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인민일보 해외판이 운영하는 SNS 계정 협객도에 말했다. 베이징시 당 기관지인 북경일보의 SNS인 ‘장안가지사’는 7일 “미국 정부는 이미 윤석열을 불신임했다”며 커트 캠벨 미 국무부 부장관이 “매우 불법적 과정”이라고 말했고,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의 “깊은 우려” 발언을 부각해 전했다.
7일 밤 중국 최대 SNS인 웨이보 인기 검색어 1~10위 대부분을 한국 윤석열 대통령 탄핵안 관련 소식이 차지했다. 웨이보 캡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편, 중국 네티즌들은 7일 밤 탄핵안 표결 무산 과정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7일 중국 최대 SNS인 웨이보의 인기 검색어는 대부분 탄핵안 속보가 차지했다. “한국 국회 재석 의원 탄핵안 통과에 부족” “한국 집권당 의원 퇴장 탄핵안 저지” “한국 국회 김건희 특검법 부결” “한국 집권당 탄핵안 반대” 등이 검색어 10위 내에 들었다.
베이징=신경진 특파원 shin.kyungjin@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