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05 (목)

韓코인거래소 거래량 440조 점프…알트코인·개인투자 중심 '불안한 투자 환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알트코인ㆍ개인 투자자 위주 거래
기관 트레이더 중심 글로벌과 상반
"법인투자 허용 등 시장 안정화 필요"


이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대선 이후 ‘트럼프 트레이드’ 효과로 국내 가상자산거래소 11월 거래량이 전달보다 4배 이상 증가한 440조 원을 돌파했다. 가상자산이 대체 투자처로 급부상한 상황에서 변동성이 큰 알트코인(비트코인 외 가상자산)과 개인 투자자 위주의 투자 환경의 위험성에 대한 경고음이 켜졌다.

3일 본지가 가상자산 시황 플랫폼 코인게코의 데이터를 종합한 결과 11월 원화거래소의 총거래량은 440조 원(약 3186억 달러)을 기록했다. 이는 전달 100조 원에서 4배 넘게 증가한 수치다. 11월 초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이 가상자산 시장 활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대선 전 6만 달러 후반에서 7만 달러를 오가던 비트코인 가격은 트럼프 당선 이후인 지난달 23일 한때 9만9655달러를 터치하며 10만 달러를 목전에 두고 있다. 자금 유입으로 인해 이더리움을 비롯한 알트코인들과 상대적으로 시가총액이 가볍고 유행에 민감한 밈코인까지 상승하는 상황이다.

국내 가상자산 거래량은 국내 주식 시장을 압도하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비트코인 상승세가 한창이던 지난달 12일 국내 가상자산 총거래량은 35조 원(약 256억 달러)을 기록하며 같은 날 코스피 거래대금 12조 원을 2배 이상 상회하기도 했다.

다만 국내 거래량 증가는 비트코인을 포함한 메이저 코인보다는 알트코인을 중심으로 발생해 글로벌 시장과 다른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날 오후 3시 기준 바이낸스와 코인베이스는 거래소 내 비트코인의 거래량 점유율이 15% 수준을 나타낸 반면, 업비트와 빗썸은 각각 2.58%와 3.1%로 그 비중이 현저히 낮다.

이는 국내 시장이 철저히 개인 투자자 중심이기 때문이다. 가상자산 분석 업체 카이코는 “코인베이스의 전체 거래량 80% 이상은 기관 트레이더로 인해 발생하며, 업비트는 위험을 추구하는 개인 투자자에 의해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위험 추구 성향이 강한 개인·알트코인 중심의 국내 투자 환경에 대한 우려가 크다. 업계에서는 시장 안정화와 육성을 위해 법인과 기관 투자는 물론 외국인의 국내 거래소 이용 허용 등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조진석 한국디지털에셋(KODA) 대표는 “법인, 기관 투자가 없으니 상대적으로 변동성 높은 자산에 개인의 관심이 쏠리는 것”이라고 했다. 그는 이어 “법인, 기관의 진입이 시장 전반의 안정성을 가져오는 것과 별개로 알트코인 변동성을 낮출 수는 없을 것”이라면서도 “기관이 많이 투자한 주식을 우량주로 부르듯, 시장에 처음 진입한 투자자들에게 투자하기 안전한 자산을 알려주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조 대표는 “또 국내 시장의 특성을 악용해 해외 프로젝트가 국내 시장을 ‘엑시트’ 창구로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 만큼, 개인투자자들도 투자결정은 본인 스스로 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적극적으로 찾고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특히 국내에서 대부분의 거래가 발생하는 자산에 대해 유의할 필요가 있다”면서 “코인마켓캡 등 시황 플랫폼에서 총발행량, 유통량, 상장 거래소, 거래소별 거래량 등을 확인하면 보다 신중한 투자가 가능하다”고 조언했다.

최화인 초이스뮤온오프 대표 역시 “개인 투자자들이 ‘고위험·고수익’을 노리고 가상자산에 투자하는 만큼 이를 제도적으로 막거나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없을 것 같다”면서도 “장기적으로 법인 투자 허용은 국내 거래소 산업의 안정화와 다각화에 기여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고위험 고수익 투자가 무조건 나쁘다는 것은 아니지만, 투자자들 역시 해외 거래소에서 레버리지에 투자하는 등 과도하게 공격적인 투자는 지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투데이/이시온 기자 (zion0304@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