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9 (금)

[팩트체크] 기록적인 폭설에도 겨울이 짧아진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00년 전보다 겨울 22일 줄고 여름 29일 늘어

온실가스 배출 심하면 2100년에는 겨울 '단 24일'

연합뉴스

고궁은 제설 작업 중
(서울=연합뉴스) 임헌정 기자 = 이틀째 많은 눈이 내린 28일 오전 서울 종로구 경복궁에서 제설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눈이 쌓여 이날 오전 일반 관람은 중단된 상태다. 2024.11.28 kane@yna.co.kr


(서울=연합뉴스) 박형빈 기자 = 유난히도 길고도 무더웠던 올해 여름에 이어 짧은 가을을 거쳐 최근 기록적인 폭설이 내리면서 12월 겨울의 문턱에 성큼 다가섰다.

예전에는 선선한 바람이 불던 9월 중순까지도 올해는 무더위가 이어지면서 여름이 길어졌고, 그만큼 겨울은 짧아졌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많다.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는 "겨울옷은 비싼데 사봐야 얼마 입지도 못해 아깝다", "여름 모기가 11월까지도 기승이다" 등의 의견도 적지 않다.

실제로 겨울은 짧아지고 여름은 길어졌을까? 만약 그렇다면 사계절의 길이는 어떻게 변화했을까? 기상청 데이터를 통해 살펴봤다.

◇ 100년 전보다 겨울 22일↓·여름 29일↑…기온도 상승

우리나라는 북반구 중위도에 위치해 사계절의 변화가 뚜렷한 편이다. 보통 계절은 봄(3∼5월), 여름(6∼8월), 가을(9∼11월), 겨울(12∼2월)로 3개월 단위로 구분한다.

다만 기상학적 계절 구분은 이와는 다르다. 9일 이동평균을 사용해 봄은 일평균 기온이 5도 이상 올라간 후 다시 내려가지 않는 첫날을 시작으로 본다.

여름은 일평균 기온이 20도 이상 올라간 후 다시 내려가지 않는 첫날, 가을은 일평균 기온이 20도 미만으로 내려간 후 다시 올라가지 않는 첫날이다.

마찬가지로 겨울은 일평균 기온이 5도 미만으로 내려간 후 다시 올라가지 않는 첫날이 시작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온화한 제주도는 이 기준에 따르면 지난 60여년간 겨울이 없었다.

기상청이 기상 관측을 시작한 1912년부터 2020년까지 약 110년간 우리나라의 사계절 시작일과 지속 기간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여름은 길어지고 겨울은 짧아졌다.

1912년부터 1940년까지 약 30년간 겨울은 11월 29일 시작해 109일 동안 지속돼 '가장 긴 계절'이었다. 이 기간 여름은 98일, 봄은 85일, 가을은 73일이었다.

1981년부터 2010년까지는 겨울이 12월 3일 시작해 94일 동안 지속됐다. 가장 긴 계절은 114일인 여름에 내줬고, 이 기간 봄은 87일, 가을은 70일이었다.

이후 가장 최근인 2010년부터 2020년까지 겨울은 12월 2일 시작해 87일 동안 지속됐고, 여름은 127일, 봄은 87일, 가을은 64일로 집계됐다.

1900년대 초중반과 최근 10년을 비교하면 겨울은 22일 줄고, 여름은 29일 늘어난 것이다.

연합뉴스

SSP5-8.5 시나리오를 적용한 향후 한반도 계절 길이
[기상청 기후정보포털 캡처]



◇ 온실가스 배출 심하면 2100년에는 겨울 '단 24일'

이런 추세의 계절 변화는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점점 심해질 전망이다.

기상청 기후정보포털에 따르면 'SSP5-8.5' 시나리오를 가정했을 때 2091∼2100년 겨울은 1월 4일 시작돼 같은 달 28일 끝나 24일에 불과할 것으로 예측된다. 여름은 대폭 늘어 173일로 한해의 절반 가까이 차지하게 된다.

SSP5-8.5는 '산업기술의 빠른 발전에 중심을 두어 화석연료를 많이 사용하고 도시 위주의 무분별한 개발이 확대될 경우'를 가정하는 온실가스 배출 시나리오로, 통상 '고탄소 시나리오'로 불린다.

이처럼 우리나라는 겨울 길이가 짧아졌을 뿐만 아니라 지구온난화로 인한 전 세계적 흐름에 따라 기온도 꾸준히 상승했다.

최근 30년(1991년∼2020년)과 과거 30년(1912∼1940년)의 결과를 비교해 장기적 기후변화를 분석하면 평균 기온은 1.6도 높아졌고, 최고기온과 최저기온도 각각 1.1도와 1.9도 상승했다. 연 최저기온은 3.1도 상승했다.

폭염 일수와 열대야 일수는 1.0일과 8.4일 늘어났지만, 한파 일수는 4.9일 줄어들었다.

다만 2011년부터 2020년까지 10년간 전국의 한파 일수는 평균 7일이었으나 극심한 폭염이 있었던 2018년에는 오히려 한파 일수가 12일로 평균보다 길었다.

연합뉴스

끝 없는 눈
(서울=연합뉴스) 류영석 기자 = 서울 등 중부지방에 많은 눈이 내리는 27일 오후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에서 직원들이 제설 작업을 하고 있다. 2024.11.27 ondol@yna.co.kr


한국기후변화학회지에 실린 '우리나라의 겨울철 기온 변화 및 한파 발생빈도 분석' 연구보고서는 "전반적인 겨울철 기온 상승이 확인되지만, 극한기후 현상 빈도는 대체로 증가하고 있어 향후 극한 기온 현상 발생빈도의 증가로 인한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고 했다.

올여름 전국 평균기온은 25.6도로 전국으로 기상관측망을 확대한 1973년 이래 가장 높았다.

특히 역대 여름철 평균기온이 높았던 1∼5위 중 1위(2024·25.6도), 2위(2018년·25.3도), 3위(2013년·25.2도), 5위(2023년·24.7도)가 2010년 이후에 집중돼있다.

국립기상과학원 분석에 따르면 21세기 말(2081~2100년) 지구 평균기온은 온실가스 배출 정도에 따라 20세기 말∼21세기 초에 비해 1.9∼5.2도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상청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온난화·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돼 전 지구에 비해 연평균 기온 증가와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은 편"이라고 말했다.

binzz@yna.co.kr

<<연합뉴스 팩트체크부는 팩트체크 소재에 대한 독자들의 제안을 받고 있습니다. 이메일(binzz@yna.co.kr)로 제안해 주시면 됩니다.>>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