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9 (금)

[현장의 시각] '억' 소리 나는 제작비, 천정부지 배우 몸값 바로 잡아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비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다음 달 방영 예정인 넷플릭스 글로벌 히트작 ‘오징어게임’의 시즌2 제작비는 업계 추산 1000억원 상당으로 알려진다. 같은 회사가 제작한 전작의 제작비가 253억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4배 증가한 것이다.

최근 국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장에 후발주자로 뛰어든 디즈니+도 배우 김혜수, 김수현 등의 스타를 내세운 콘텐츠를 2025년 줄줄이 공개하겠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디즈니+ 이름을 알리는 일등 공신 역할을 한 히트작 ‘무빙’의 시즌2 제작도 확정했다고 밝혔다. 무빙이 일반적인 블록버스터 영화의 3~4배에 달하는 7540컷의 컴퓨터그래픽(CG)을 활용하며 650억원의 제작비가 투입됐던 것을 감안한다면 후속작 역시 제작비 규모가 상당할 것을 짐작할 수 있다.

K콘텐츠 시장이 전례 없는 제작비 폭등에 몸살을 앓고 있다. 2024년 현재 웬만한 드라마는 작품당 최소 200억~300억원이 소요되고 있으며 일부 대작의 경우 그 금액이 더 큰 상황이다. 국내 방송사와 OTT 사업자들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다.

제작비 상당 부분은 배우 출연료로 할애되고 있다. 현재 톱스타들의 드라마 회당 출연료는 2억~3억원을 웃돌고 있으며, 일부 A급 배우의 경우 10억~13억원에 육박한다고 알려진다. 이는 제작비의 절반가량에 달한다.

넷플릭스 같은 거대 자본을 가진 글로벌 OTT의 국내 진출과 K 콘텐츠의 글로벌 성공으로 인해 스타 배우들의 가치가 빠르게 치솟고 있는 양상이 맞물린 결과다.

이로 인해 배우 간 부익부 빈익빈 현상도 가속화하는 분위기다. 톱스타들의 몸값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올라가고 있는 반면 신인이나 무명 배우는 기회조차 어려운 상황이라는 것이다. 단역 배우와 A급 스타 출연료 차이는 2000배에 달하기도 한다.

조선비즈

그래픽=손민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런 제작비 부담으로 국내 드라마 제작 편수는 급감하고 있다. 한국드라마제작사협회에 따르면, 2019~2020년 100편 안팎이었던 드라마 제작 편수는 2021년 116편, 2022년 141편으로 크게 늘었다가 지난해 123편으로 감소세로 돌아섰다. 올해는 105편으로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2년 사이 25% 감소, 2020년 이전 수준으로 돌아간 것이다.

그간 작품 수 감소 추세에도 대작 제작으로 인한 판가 상승으로 방어해 온 대형 드라마 제작사 스튜디오드래곤마저 3분기 매출이 900억원대에 그치고, 적자 전환한 것도 이런 현실을 잘 보여주는 지표라 하겠다. 중소 제작사는 생존 자체에 위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작품의 완성도는 톱스타의 출연 만으로 올라가지 않는다. 제작비를 갉아 먹는 배우들의 몸값 정상화와 신인 발굴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이유는 이 때문이다. 한 배우는 최근 주연 배우들의 출연료를 공개하고, 그 합리성에 대해 대중의 평가를 받아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중국의 경우 배우 출연료가 총제작비의 40%를 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를 참고해 국내에서도 제작비 폭등을 막기 위한 가이드라인 설정이 필요하다. 업계 자율규제 기구 설립 등 컨트롤 타워가 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넷플릭스는 2025년까지 선보일 한국 콘텐츠 5편 중 1편을 신예 작가나 감독의 데뷔작으로 만들겠다고 발표했다. 이런 영향력 있는 플랫폼의 신인 발굴·육성 투자는 지금보다 더 많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K콘텐츠 산업의 공멸을 막을 수 있는 골든타임이 더는 지체되지 않기를 바란다.

장우정 기자(woo@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