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한, 사실관계 확인 요구에 무대응…친윤, '친한 이탈표' 가능성 경고
"소모적 내부 공방 벌일 때 아냐"…당내서 '갈등 끝내자' 목소리도
당원 게시판 논란 충돌 '계속?' |
(서울=연합뉴스) 안채원 조다운 기자 = 국민의힘에서 '당원 게시판' 논란이 연일 이어지며 내부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이달 내내 계속돼 온 게시판 논란은 다음 달 10일 김건희 여사 특검법 재표결 때 '여당 이탈표'의 주요 변수로까지 거론되는 상황이다.
여권의 소모적 논쟁이 이어지며 정작 필요한 쇄신 논의는 실종됐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당 안팎에서 나온다.
친윤(윤석열)계인 권성동 의원은 28일 보수 진영 외곽조직인 '새로운미래준비위원회'(새미준)의 정기세미나 강연에서 당원 게시판 논란과 관련해 한동훈 대표를 공개 비판했다.
권 의원은 "한 대표나 그 가족 명의로 1천건에 가까운 의견이 게시판에 올라왔는데 그러면 당심이 왜곡된다"며 "가족이 글을 올렸는지, 제삼자가 가족 이름으로 올렸냐를 알려달란 것이지, 대통령을 비판한 것이 중요한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앞서 한 대표가 지난 25일 "대통령 비판 글을 누가 썼는지 색출하라는 것은 그 자체가 황당한 소리"라며 "익명 당원 게시판에서 당연히 대통령이든 당 대표든 비판할 수 있다"고 말한 것을 겨냥한 것이다.
한 대표가 자기 가족 명의로 작성된 게시글에 대해 실제 가족의 작성 여부를 밝히지 않은 채 게시판에서의 자유로운 의견 개진만 강조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것이 권 의원의 지적이다.
권 의원은 특히 당원 게시판을 둘러싼 갈등으로 김 여사 특검법 재표결 때 친한(한동훈)계에서 이탈표가 나올 수 있다는 일각의 우려와 관련해서도 "게시판 문제를 김 여사 특검과 연계시키는 것은 명백한 해당 행위"라고 경고했다.
친윤계로 분류되는 김민전 최고위원은 지난 25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당원 게시판 논란을 두고 한 대표와 공개 충돌한 데 이어 이날 회의에서도 당원 게시판 논란을 다시 한번 언급했다.
김 최고위원은 회의에서 '당원 게시판에서 한 대표를 비판하며 사퇴하라는 글을 작성한 사람을 당 차원에서 고발한다'는 취지의 기사를 지도부의 단체대화방에 올렸다고 소개했다.
김 최고위원은 25일 회의에서 해당 보도를 언급하며 한 대표 측의 해명을 촉구했는데, 즉각 한 대표는 고발 계획이 없다며 "발언할 때 사실관계를 좀 확인하라"고 말했다. 이후 일부 친한계는 김 최고위원의 사과도 요구했다.
김 최고위원은 이날 "그 기사가 오류가 있다면 그것이 누구의 책임인지는 취재원과 기자가 가려야 할 부분"이라며 친한계의 사과 요구를 사실상 거절했다.
한 대표는 회의에서 당원 게시판 논란을 거론하지 않은 채 "민주당 이재명 대표 선고의 1막이 어떻게 보면 끝난 것 같다"며 "우리가 변화와 쇄신을 더 실천해야 할 때다. 구체적으로 잘 챙기겠다"고 밝혔다.
관심이 모였던 이 대표 공직선거법 및 위증교사 사건 1심 선고가 마무리되고, 여당이 관련 반사이익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내부 갈등을 자제하고 당 쇄신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한 대표 측 관계자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지금 시점에서 당원 게시판 논란과 관련해 해명이든 반박이든 하기 시작하면 공세에 말려들 것"이라며 "사실관계 확인 요구에 대해서는 무대응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당 내부에서도 불필요한 당원 게시판 논란을 마무리 지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전날 한기호·고동진 의원은 당 소속 의원 단체대화방에 '당원 게시판에는 누구나 글을 올릴 수 있지 않느냐'며 '이제 논쟁을 끝내자'고 제안했다고 한다.
계파색이 옅은 한 중진의원은 "지금 민주당 상황이나 정부·여당 지지율을 볼 때 내부에서 소모적인 공방을 벌일 때가 아니다"라며 "내부 공격을 멈추고 민심을 얻기 위한 방법이 무엇인지 하나가 돼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chaewon@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