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 첫날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들어오는 모든 수입품에 25% 관세를 물리는 한편 중국 제품에는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다. 중국에서 생산된 마약이 이들 국가를 통해 미국으로 유입된다는 이유에서 나온 조치로 '북미3국' 동맹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미국과의 교역에서 흑자를 내고 있는 한국도 트럼프발 관세 폭격을 받을 수 있다는 해석도 있다.
(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7일 (현지시간) 위스콘신주 모시니에서 열린 선거 유세서 “우리는 '관세 국가'가 될 것이다. 동맹국이든 적성국이든 관계없이 관세를 무기로 한 강력한 보호주의 무역 정책을 펼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2024.09.08 /로이터=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5일(현지시간) 트럼프 당선인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수천명이 멕시코와 캐나다를 통해 쏟아져 들어오면서 전례 없는 수준으로 마약 유입도 증가하고 있다"며 "내년 1월20일 취임 첫 날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미국으로 오는 모든 제품에 25%의 관세를 물리는 데 필요한 행정명령 서류에 서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캐나다와 멕시코에 부과하는 관세는 불법으로 미국 국경을 넘는 펜타닐 등 마약과 이민자들이 제대로 단속될 때까지 유지될 것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멕시코와 캐나다는 이 같은 문제를 쉽게 해결할 절대적인 권리와 권한을 갖고 있다"며 "우리는 양국에 이 권한을 사용할 것을 요구하며, 시행되기 전까지는 큰 대가를 치러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25일(현지시간) 트럼프 당선인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멕시코와 캐나다를 통해 수천명의 사람들이 쏟아져 들어오고 있으며 전례 없는 수준으로 마약 유입도 증가하고 있다"며 "내년 1월20일 취임 첫 날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미국으로 오는 모든 제품에 25%의 관세를 물리는데 필요한 행정명령 서류에 서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진=트럼프 트루스소셜 계정 캡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트럼프 당선인이 구체적인 관세 정책 계획을 내놓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대선 기간 대선 기간 모든 수입품에 10~20%의 보편적 관세를, 중국산 제품에는 60%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약했으나 실현 가능성엔 의문이 제기됐었다. 하지만 이날 발표로 관세 공약 실천 의지가 재확인됐다. 국제긴급경제권법(IEEPA), 무역확장법 232조 등을 관세 부과 수단으로 활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진단이다.
이 같은 조치가 이뤄지면 미국과 멕시코, 캐나다 북미 3국 경제 동맹에 균열이 생길 수밖에 없다. 세 나라는 USMCA(미국·멕시코·캐나다협정) 무역협정을 맺었다. 캐나다는 총수출의 75%(2023년 기준)을, 멕시코는 83%를 미국에 의존하고 있어 관세 부과 시 큰 타격이 예상된다. 트럼프는 취임 시 3국 협정을 대대적으로 손 볼 가능성이 높다.
미국 무역수지 추이 및 미국 무역적자 국가 현황/그래픽=윤선정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날 당선인은 중국에 대해서도 미국으로의 펜타닐 유입 문제가 해결되는 날까지 기존의 추가 관세에 10%를 더 매길 것이라는 예고도 더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중국과 대량 약물, 특히 펜타닐이 미국에 유입되는 것에 대해 여러 차례 대화를 나눴지만 아무 소용이 없었다"며 "중국이 멈출 때까지 우리는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제품에 추가 관세 외에 10% 관세를 더 부과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의 관세 예고와 관련 주미 중국대사관은 "중국과 미국의 경제·무역 협력이 상호 이익이 된다고 믿는다"며 "무역·관세 전쟁의 승자는 없다"는 입장을 냈다. 미국과 가장 가까운 우방국인 캐나다는 쥐스탱 트뤼도 총리가 트럼프 당선인과 직접 통화해 우호적인 논의를 나눈 것으로 알려졌지만 구체적인 대화는 공개되지 않았다.
한편 이번 트럼프의 발언은 한국 등 다른 나라에도 향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일본의 하야시 켄타로 다이와증권 수석전략가는 니혼게이자이신문에 "결국 일본에도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짚었다.
송지유 기자 clio@mt.co.kr 정혜인 기자 chimt@mt.co.kr 김종훈 기자 ninachum24@mt.co.kr 이지현 기자 jihyunn@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