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민 1인당 생애주기별로 17살 때 4천여만 원의 최대 적자를 기록하고 43살에 1천750만 원가량의 최대 흑자를 내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노동소득이 43살에 정점을 찍고 줄면서 61살부터는 다시 적자로 전환합니다.
통계청은 이런 내용 등을 담은 '2022년 국민이전계정'을 오늘(26일) 발표했습니다.
국민이전계정은 소비와 노동소득의 관계를 연령 변화에 초점을 두고 연령집단(세대) 간 경제적 자원의 흐름을 파악하는 통계다.
2022년 기준 우리나라 국민의 총소비는 전년보다 9.9% 증가한 1천364조 1천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공공소비가 전년보다 8.4% 늘고, 민간소비는 10.6% 증가했습니다.
공공소비 가운데서는 공공보건소비(8.6%)가, 민간소비에서는 민간교육소비(12.2%)가 증가율이 높았습니다.
노동소득은 1년 전보다 6.3% 증가한 1천168조 7천억 원입니다.
이에 소비에서 노동소득을 차감한 생애주기 적자는 직전 해보다 53조 7천억 원 증가한 195조 4천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소비가 노동소득보다 가파르게 늘면서 적자 규모가 늘었습니다.
연령계층별로 살펴보면 유년층(0∼14세)과 노년층(65세 이상)은 각각 176조 8천억 원, 162조 5천억 원 적자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노동연령층(15~64세)은 143조 9천억 원 흑자가 났습니다.
국민 1인당 생애주기로 살펴봐도 이처럼 '적자→흑자→적자' 구조를 띤다.
소득이 없거나 적은 0∼27세까지 적자였다가 28세에 흑자로 진입, 노동소득이 뒷받침되는 60살까지 흑자를 유지하다가 61세에 다시 적자로 전환합니다.
유년층은 교육소비, 노년층은 보건소비가 많은 영항도 있습니다.
1인당 소비는 17살에 4천113만 원으로 가장 많습니다.
1인당 노동소득은 17세 이후 점차 증가해 43세에 4천290만 원으로 정점을 찍고 점차 줄어듭니다.
이에 1인당 생애주기적자는 17살에 4천78만 원으로 최대 적자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흑자 폭이 가장 큰 나이는 43살, 1천753만 원입니다.
2021년 기준 17살에 3천757만 5천 원 최대 적자, 46살 때 1천823만 1천 원 최대 흑자였는데 1년 전보다 적자 폭은 늘고 흑자 폭은 줄었습니다.
2010년 이후로 살펴보면 흑자 진입 연령은 27∼28세로 일정한 편입니다.
적자 재진입 연령은 56세(2010년)에서 61세(2022년)로 점차 늦춰지고 있습니다.
은퇴가 늦어지고 은퇴 후에도 계속 일을 하는 노년층이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습니다.
생애주기별로 발생한 적자는 가구 내 이전, 정부의 공공이전 등을 통해 메워집니다.
흑자 발생 연령에서 적자 연령대로 유입되는 구조다.
2022년 노동연령층에서 순유출된 298조 1천억 원이 유년층과 노년층으로 각각 177조 4천억 원, 118조 원 순이전됐습니다.
통계청은 이날 2020년 기준 국내총생산(GDP) 개편 결과를 적용해 국민이전계정의 추계 방법과 기초자료도 개선했다고 밝혔습니다.
교육소비 대상 연령을 학령기(0∼33세)에서 전 연령대로 확대했고, 통계표 연령을 세분화해 통계 활용성을 높였습니다.
한지연 기자 jyh@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