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명성 강조하는 노조
파업 가능성 지난해보다 높아
포스코노동조합이 지난해 9월 6일 오후 전남 광양제철소 앞에서 쟁의대책위원회 출범식을 개최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업황 부진과 잇단 화재, 트럼프발(發) 리스크 등 대내외 악재에 둘러싸인 포스코가 사상 첫 파업 위기에 몰렸다.
25일 포스코의 대표교섭노조인 한국노총 금속노련 포스코노동조합(포스코노조)는 조합원 투표에서 쟁의행위를 가결했다고 밝혔다. 포스코노조가 이날 오전 5시부터 오후 5시까지 조합원을 대상으로 모바일 방식으로 쟁의행위 찬반 투표를 진행한 결과 재적 인원 7934명 중 5733명(72.25%)이 찬성했다. 반대는 1623명이었다.
노사는 지난 21일 중앙노동위원회 2차 조정회의를 진행했지만 협상이 최종 결렬됐다. 사측은 기본급 8만 원 인상과 경영목표 달성 동참 격려금 300만 원, 노사 화합 격려금 300만 원 일시 지급을 제안했으나 노조는 임금 8.3% 인상과 격려금 300%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노사가 가장 대립하고 있는 지점은 '조합원만을 위한 혜택'으로 알려졌다. 노조는 ▲조합원만 100% 정년 후 재채용 ▲별도타결금 지급 등을 요구하고 있는데 이를 사측이 거부한 것이다.
노조의 쟁의행위 가결 소식에 포스코 측은 "회사는 과거 어느 때보다 심각한 경영여건에도 불구하고 전향적인 안을 제시했다"며 "노조와 소통하며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최대한 노력했음에도 교섭이 난항을 지속하는 점에 대해 안타까운 마음"이라고 밝혔다. 이어 "회사는 평화적으로 교섭을 타결하기 위해 지속 노력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포스코 노조의 파업이 현실화한다면 창립 이후 56년만에 첫 파업이다. 포스코노조는 지난해 창사 이래 첫 파업 수순을 밟았으나 극적 합의로 파업이 실행되지는 않았다. 올해 실제 파업이 일어나면 포스코뿐 아니라 원료를 납품 받는 다른 철강사들과 자동차, 조선 등 전방 산업까지 철강 공급망이 흔들리게 된다.
업계 안팎에서는 지난해보다 포스코 노조의 파업 실행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고 있다. 김성호 포스코노조 위원장은 2022년 선거에서 52% 득표율로 당선됐는데 지난달 선거에서는 82% 득표율로 연임에 성공했다. 김 위원장은 "교섭에 직접 참석했으나 추가 제시안이 없었다"며 "이는 사측에서 쟁의를 하라는 뜻으로 받아들이고, 단체행동을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선명성을 강조하며 포스코 노조 조합원들의 높은 지지를 얻고 있다.
다만 연내 합의 가능성도 열려 있다. 철강 업황이 좋지 않고 대내외 위기를 맞고 있는 것이 외려 파업 동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철강 업황이 좋지 않고 대내외 환경이 악화일로"라며 "실제 파업을 이끌어내는 것은 힘들 것으로 보이지만 파업권 확보로 노조는 협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포스코를 비롯한 국내 철강업계는 중국산 저가재 공세와 수요 급감 등의 여파로 불황에 빠져 있다. 포스코는 지난 19일 45년 넘게 가동해온 포항제철소 1선재공장을 전격 폐쇄했고 지난 7월에는 포항제철소 1제강공장을 폐쇄했다. 글로벌 철강 공급 과잉과 해외 저가 철강재 공세 등으로 날로 악화하는 수익성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다. 여기에 이달 들어서는 포항제철소 내 3파이넥스 공장에 2주 간격으로 불이 나 화재 복구에 나선 상태다.
대외 리스크도 날로 커지고 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출범으로 관세 장벽이 더 높아질 수 있는 상황이다. 무관세 수출하고 있는 대미(對美) 철강 수출 할당량인 연 263만t 마저 줄어들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관세 장벽은 미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로 철강 공급 과잉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정동훈 기자 hoon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