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랜차이즈 본사 영업이익률 10% 육박…가맹점주 “배달비 핑계로 가격 올리는 본사가 문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5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는 내년 초부터 매장 가격보다 배달 가격을 비싸게 받는 이중가격제 도입을 추진한다. 지난 14일 배달앱 상생협의체 합의안에서 현행 9.8% 수준의 배달앱 수수료를 2~7.8%로 낮추기로 했지만, 이 역시 배달가격 부담을 줄이기는 어렵다는 이유 때문이다.
◆배달료 때문에 이중가격제 한다더니…메뉴 가격 인상 폭, 배달료보다 크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들은 배달료가 오른 만큼 이중가격제를 통해 보전하겠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2만5000원 미만 주문에서 몇백원 추가 배달료가 발생하는 데 비해 이중가격제를 통한 배달가격 인상 폭은 1000~2000원으로 예상돼 소비자 물가 부담을 가중할 전망이다.
예를 들어, 배달의민족과 쿠팡이츠에서 BHC치킨 최저가 메뉴인 ‘바삭클’ 1만8000원 메뉴를 주문하면 기존 대비 수수료는 360원 줄고, 배달료는 500원 늘어 140원 추가 부담이 생긴다. 소비자는 이중가격으로 소비자는 1000~2000원 돈을 더 내야 하는 셈이다.
한 배달앱 관계자는 “상생안으로 수수료율이 낮아지면 가맹점과 프랜차이즈 본사가 수익을 가져가지만, 일부 메뉴에 소폭 인상된 배달료를 부풀려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것은 물론 추가 수익을 확보하려는 속셈”이라며 “프랜차이즈협회에 점주 중에도 2% 수수료를 적용 받는 매장에도 일괄적으로 배달가격을 인상하는 것은 소비자 부담을 덜어주겠다는 상생안의 취지에도 어긋난다”고 전했다.
배달업계는 메뉴 가격 설정이 업주 권한인 만큼, 직접적인 개입은 어렵다고 토로한다. 배달의민족은 앱 내에서 이중가격제를 채택하지 않는 업주를 대상으로 ‘같은 가격 배지’를 달아 소비자에 대한 정보 제공을 강화하고 있다.
업계 일각에서는 프랜차이즈들의 이중가격제 추진이 프랜차이즈 본사의 수익률 확대를 위한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실제 프랜차이즈협회에 소속된 주요 치킨업체들은 배달앱 상생안이 나오기 전인 지난해부터 올해 10월까지 꾸준히 가격을 인상해 왔다.
지난해 4월 교촌치킨이 치킨 가격을 최대 3000원 인상한 데 이어, 12월 BHC 치킨은 치킨을 비롯한 85개 제품 권장 소비자 가격을 500~3000원 인상했다. 평균 인상률은 12.4%다. 올해 6월 BBQ도 23개 메뉴 소비자 권장 판매 가격을 평균 6.3% 올렸다.
또 다른 배달앱 관계자는 “대형 프랜차이즈들이 주로 소속된 두개 단체는 배달앱 수수료 상한을 5%로 하자는 의견을 협의의 여지를 두지 않고 고집했다”며 “당장 수수료 인하로 수혜를 볼 수 있는 영세 소상공인을 위한 혜택은 뒷전이고, 배달앱 수수료를 핑계로 가격 인상을 합리화하고 수익률을 높이기 위한 행보로 읽힌다”고 지적했다.
◆수수료 상생안 내놓아도 배달앱이 문제? “프랜차이즈 본사 횡포가 더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김남근 의원실(더불어민주당)에 따르면 치킨 프랜차이즈 본사인 BHC, 제너시스BBQ, 교촌에프앤비 등 8곳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2681억원으로 영업이익률 10%를 기록했고 적자를 낸 곳은 한 곳도 없었다. BHC 영업이익률은 22%(1203억원)로 가장 높았고, 이어 제네시스 BBQ 14%(653억원)에 달했다.
프랜차이즈 상위 6개 본사의 최근 3년(2020~2022년)간 유통 마진은 가맹점당 12.9%로 이는 생닭이나 식용유, 채소 등 원부자재를 공급하면서 거둔 차액이다. 외식업체 영업비용 중 식재료비는 2022년 42.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높은 유통 마진으로 치킨 프랜차이즈 매출과 이익은 2020년 대비 2022년 32.9%로 폭증했다. 같은 기간 가맹점포당 평균 매출 1.6% 감소한 것.
본사가 재료를 공급할 때 도매가격에 마진을 붙여 하는 ‘차액가맹금’이 점주와 협의도 없이 결정되는 탓에 프랜차이즈 가맹점주들이 본사를 상대로 하는 소송도 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배달앱 관계자는 “배달앱들이 수익을 포기하고서라도 수수료율을 낮추는 상생에 나섰으나 프랜차이즈 본사가 메뉴 가격을 인상한 지 일 년도 지나지 않아 이중가격제 도입을 공식화하는 것은 베달앱 수수료를 가격 인상을 위한 핑계로 삼은 것”이라며 “가맹본사 차원 이중가격제 시행은 외식시장의 배달 수요를 줄여 영세 가맹점주가 피해를 보는 결과로 돌아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