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집안부터 스마트팜까지 사이버 위협”…과기정통부, 안전수칙 준수 당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집안에 설치된 인터넷 카메라(IP카메라)부터 농가 일손 부족을 해결하는 스마트팜까지 외부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가 해커들의 '먹잇감'이 되고 있다. 정부와 사이버 보안 전문가들은 사용자의 사이버 위협 인지 부족을 해커들이 노린다면서 복잡한 비밀번호 설정 등 기본 안전수칙 준수를 당부한다.

24일 정보보호업계에 따르면, 사이버 공격 대상이 기존 정부 기관, 기업에서 나아가 일반 시민들까지 확대하고 있다. 디지털화로 인해 우리 일상 생활에서 쓰이는 각종 정보기술(IT) 기기가 언제든 해커의 도마 위에 오를 수 있다는 얘기다.

특히 가정에서 홈캠으로 사용하는 IP카메라의 경우 잊을만하면 중국 등 해외 음란 사이트에 사생활 영상이 올라오는 사건의 발원지가 된다. 지난 9월에도 국내 병원과 사우나 등 다중이용시설의 IP카메라에 담긴 사생활 영상 약 500건이 중국의 유해 사이트에 노출되는 등 IP카메라발 사생활 유출 문제가 또다시 대두됐다.

최근 들어선 국내 스마트팜도 공격 대상이 됐다. 친러시아 성향 해킹 조직인 앨리게이터 블랙햇(Alligator Black Hat), 지펜테스트(Z-Pentest) 등이 국내 스마트팜을 해킹했다고 주장하며 제어시스템에 접속해 자유자재로 조작하는 영상을 공개했다. 이들 조직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반러시아·친우크라이나 행보를 보이는 국가에 사이버 공격을 감행하고 있다.

사이버 보안 전문가들은 사이버 위협에 대한 인지 부족으로 비밀번호를 아예 설정하지 않거나 기본 비밀번호를 유지하는 것이 공격 루트가 됐다며, 복잡한 비밀번호 설정, 최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등 기본 안전 수칙 준수만으로도 대응책이 될 수 있다고 강조한다.

한 사이버 보안 전문가는 “현재까지 파악된 국내 스마트팜 해킹 대다수가 대전시 S사의 비닐하우스 자동제어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원격 서비스가 공격 지점이었지만, 문제는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설정하지 않은 데 있다”면서 “IP카메라와 스마트팜 해킹 사고 모두 비밀번호 설정하지 않거나 변경하지 않아서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스마트팜 해킹 영상에 온도 조절 등 원격 제어하는 모습이 담겨 일반인이 보기에 고난이도 해킹으로 보이지만, 실제론 IP카메라와 공격방식이 같다”고 덧붙였다.

주무 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도 복잡한 비밀번호 설정 기능 의무화 등 'IP 카메라 보안 강화 방안'을 내놨다. 또 최근 스마트팜 해킹과 관련해 농림축산식품부를 비롯해 지방자치단체와 한국스마트팜산업협회 등에 스마트팜 보안조치 협조 요청 공문을 보냈다. 초기 비밀번호 변경과 복잡한 비밀번호 설정, SW 최신 버전 업데이트 등이 골자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스마트팜 농가에서 비밀번호 설정 등 사이버 위협 예방에 대한 인지가 부족할 수 있다”면서 “개별 스마트팜까지 단계적으로 전파될 수 있도록 관계 기관과 협회 등에 협조 공문을 보냈다”고 말했다.

조재학 기자 2jh@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