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韓, 별도 사도광산 추도식…"80여년 전 강제동원 노동자 애도"(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韓유족·주일대사 등 30명 참석…사도섬 조선인 기숙사터서 묵념·헌화 추도

주일대사 "사도광산 역사 뒤 한국인 노동자 눈물과 희생 잊지 않을 것"

연합뉴스

묵념하는 사도광산 강제동원 한국인 희생자 유족
(사도[일본]=연합뉴스) 박성진 특파원 = 25일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 조선인 기숙사 터에서 열린 사도광산 강제동원 한국인 희생자 추도식에서 한국측 유족과 참석자들이 묵념하고 있다. 2024.11.25 sungjinpark@yna.co.kr



(사도[일본]·도쿄=연합뉴스) 박성진 박상현 특파원 = 일본 주최 '사도광산 추도식'에 불참한 한국 정부가 25일 일제강점기 사도광산에서 강제 노역한 조선인 노동자를 추모하는 별도 추도 행사를 열었다.

한국 정부는 이날 오전 일본 니가타현 사도섬 사도광산 인근 조선인 기숙사였던 '제4상애료' 터에서 추도 행사를 개최했다.

추도식에는 한국 유족 9명과 박철희 주일 한국대사를 비롯한 주일 한국대사관 관계자 등 약 30명이 참석했으며 엄숙한 분위기 속에서 추도사 낭독과 묵념, 헌화 등이 진행됐다.

박 대사는 추도사에서 "80여년 전 사도광산에 강제로 동원돼 가혹한 노동에 지쳐 스러져 간 한국인 노동자분들의 영령에 머리 숙여 깊은 애도를 표하며 삼가 명복을 빈다"고 말했다.

이어 "영영 사랑하는 가족의 품에 안기지 못하고 돌아가신 한국인 노동자의 한스러운 마음, 귀국 후 사고 후유증과 진폐증으로 힘든 삶을 이어간 분들에게는 어떤 말도 온전한 위로가 될 수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대사는 "사도광산의 역사 뒤에는 한국인 노동자분들의 눈물과 희생이 있었음을 우리는 영원히 잊지 않을 것"이라며 추도식이 가혹한 환경에서 고통을 겪은 한국인 노동자를 기억하고 희생자와 유가족을 위로하는 자리가 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80여년 전의 아픈 역사가 계속 기억될 수 있도록 한일 양국이 진심으로 노력해 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추도식에 참가한 일부 여성 유가족은 행사 도중 감정이 북받치는 듯 손수건을 꺼내 눈물을 훔치기도 했다.

추도 행사 공식 일정은 약 10분 만에 종료됐으며, 이후 유가족들이 각자 준비한 술잔을 바치는 등 별도로 추모하는 시간을 가졌다.

추도식을 취재한 일본 기자들은 박 대사에게 한국이 별도 추도 행사를 하는 이유 등을 물었으나, 박 대사는 말없이 자리를 떠났다.

한국 추도식 개최 직전 기자들과 만난 아라이 마리 사도시의회 의원은 사도광산 조선인 노동에 '강제성'이 있었다는 증언이 있다면서 "(일본이) 사과할 것이 많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사도광산 강제동원 한국인 희생자 추도식
(사도[일본]=연합뉴스) 박성진 특파원 = 25일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 조선인 기숙사 터에서 열린 사도광산 강제동원 한국인 희생자 추도식에서 박철희 주일 한국대사가 추도사를 하고 있다. 2024.11.25 sungjinpark@yna.co.kr



애초 한국 유족과 정부 대표는 전날 일본 주최로 사도섬 아이카와개발종합센터에서 개최된 '사도광산 추도식'에 참석할 예정이었으나 행사 전날인 23일 전격 불참을 일본에 통보했다.

추도식 일본 중앙정부 대표인 이쿠이나 아키코 외무성 정무관(차관급)의 야스쿠니신사 참배 이력 문제와 추도사 내용 등이 조선인 노동자 애도라는 행사 취지에 부합하지 못한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일본이 지난 7월 사도광산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할 때 한국의 등재 동의를 얻기 위해 매년 현지에서 열기로 약속한 첫 노동자 추도식은 '반쪽짜리 행사'로 전락했다.

이쿠이나 정무관은 전날 추도식에서 조선인 노동자들에 대해 언급하면서 '강제동원' 등 강제성과 관련된 표현은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

전날 사도섬에 온 한국 유족 9명은 일본 추도식 보이콧 결정에 따라 추도식에 참석하는 대신 조선인 노동자 관련 전시 공간이 있는 사도광산 옆 아이카와 향토박물관을 시찰했다.

사도광산은 에도시대(1603∼1867)에 금광으로 유명했던 곳으로 태평양전쟁이 본격화한 후에는 구리 등 전쟁 물자를 확보하는 광산으로 주로 이용됐다. 이 무렵 1천500여 명으로 추산되는 조선인들이 강제 동원돼 혹독한 환경 속에서 일했다.

sungjinpark@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