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은 24일 이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한 ‘윤석열 정부 후반기 과학기술 분야 5대 개혁방향’을 발표했다. 박상욱 과학기술 수석비서관은 이날 발표에서 과학기술 혁신생태계 도약을 위해 대학·출연연 공공연구 부문 업그레이드, 선도형 기초연구로 질적 전환, 글로벌 과학기술협력, 기술사업화 시장 육성, R&D 매니지먼트 선진화 등 다섯 가지 대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국가 과학기술 생태계를 선도국형, 선진국형, 강대국형으로 변신시키겠다는 방침이다.
김영옥 기자 |
대통령실은 공공부문 연구개발 성과의 기술이전·사업화에 시장 메커니즘을 적극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연구비 투자에 비해 기술사업화 성과가 저조한 것이 한국 R&D의 대표적인 약점으로 지적됐다는 평가도 덧붙였다. 박 수석은 “기술사업화 전문회사는 내년 중으로 출범하며, 공공기관이 아닌 영리추구형 주식회사가 될 것”이라며 “산업부와 교육부·과기부·중기부 등 여러 부처로 분절화돼 있는 기술사업화 관련 지원정책은 관계부처 협의체 운영을 통해 조율하고 대통령실에서 직접 챙길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연구계의 고질적 문제점 중 하나였던 대학 간, 공공연구기관 간 벽을 허물기 위한 정책도 시행된다. 정부는 올해 초 이를 위한 글로벌 톱 연구단을 발족해 여러 출연연이 협력하는 융합연구 체제를 도입했다. 또 대학의 학과 간 장벽을 없애기 위해 융합연구를 지원하는 국가연구소 2.0 사업을 내년부터 시작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미국 MIT 미디어랩과 같은 세계적인 대학 연구소를 육성할 계획이다.
기초연구는 선도형으로 질적 전환한다. ‘성공률 98%’ ‘연구를 위한 연구’ 같은 비판을 받아 왔던 기존 R&D 방식에서 탈피하기 위한 방안이다. 내년부터는 연구자 나이와 경력을 기준으로 하는 ‘연구자 생애주기형’ 지원에서 벗어나 연구 자체의 성장 단계에 맞는 지원체계로 전환한다. 젊은 연구자도 연구 역량과 주제에 따라 대규모 연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도 지난 17일 R&D 성과가 신산업과 성장동력으로 이어질 수 있게 하는 기술사업화 전담 부처를 맡아 범정부 차원의 기술사업화 생태계를 조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중앙일보는 2021년부터 ‘R&D 패러독스 극복-혁신창업의 길’이란 주제하에 서울대·KAIST·과기정통부와 함께 공공 R&D 기술사업화 모범 사례를 발굴하고 규제 개혁을 요구하는 연중기획과 국제심포지엄·월례포럼을 진행하고 있다.
박 수석은 “한국 경제는 지난 세기 빠른 추격자로 세계경제의 중심축으로 도약해 왔지만, 최근 성장 한계 선상에 와 있다”며 “더는 R&D 투자 세계 1, 2위라는 명분이 아니라, 성과 1, 2위를 자랑하는 국가가 돼야 한다는 심정으로 과학기술 분야 5대 개혁방향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최준호 과학전문기자 joonho@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