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글로벌 기업들 간의 치열한 첨단기술 경쟁에서 특허소송도 중요한 무기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미국 우선주의를 앞세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내년 1월 취임하면 미국 특허권자 보호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보인다. 역으로 미국에 진출해 활동하는 외국 기업에 대해서는 전방위 특허소송 가능성이 제기된다. 트럼프 당선인이 공언한 '관세폭탄'을 넘어 미국 기업을 위협하는 다른 국가의 주요 기업에 대해 특허소송을 중요한 무기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 기업들은 특허소송을 통해 외국 기업들의 기술을 무력화하거나 이들의 사업성을 약화시키는 전략을 수시로 취하고 있다. 특히 첨단산업으로 분류되는 반도체, 통신, 바이오 관련 분야의 소송이 많다.
22일 특허청에 따르면 2019~2023년 미국 전역에서 특허분쟁을 겪고 있는 기업은 연평균 5637개사에 달한다. 특징은 전기·전자 비중은 감소하는 반면 화학·바이오 분야의 분쟁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5년간 벌어진 미국 전체 특허분쟁 중 산업별 분쟁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기·전자(55%), 화학·바이오(17%), 기구·기기(11%) 등이다. 한국 기업이 미국에서 특허소송에 피소된 건수는 2019년 67건에서 2021년 107건까지 늘어났고, 2022년과 2023년 연속 80건이 넘었다.
이와 관련해 기술 기업의 특허를 인수해 만든 특허관리전문회사(NPE·Non-Practicing Entity)도 등장해 무차별 특허소송을 하고 있다. NPE는 기술 개발이나 제조 활동 없이 다른 기업의 특허권을 매입·관리해 수익을 창출하는 회사다. 기술 개발이 활발한 정보기술(IT), 반도체, 바이오, 자동차 기업들의 특허가 주 매입 대상이다.
국내 기업들도 NPE들의 소송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지식재산(IP) 동향(Trend) 연차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한국 기업의 피소 건 내 NPE 소송 비중은 약 70%로 나타났다.
2022년 인텔의 주요 특허를 인수한 NPE 다이달로스 프라임은 TSMC, 삼성전자, 미디어텍 등 반도체 기업에 무차별적 소송을 제기했다.
미국 징기스컴은 2024년 삼성전자의 5G 기술과 관련해 특허침해소송을 냈다. 이 회사도 다수의 특허를 소유한 NPE다. 미국의 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인 글로벌파운드리는 2019년 8월 TSMC를 상대로 미국에서 특허침해소송을 냈다. TSMC가 글로벌파운드리와 반도체 관련 포괄적 상호 라이선싱에 합의하면서 소송은 2개월 만에 취하됐지만, 글로벌파운드리는 이를 통해 많은 비용을 아낄 수 있었다.
헬스케어 분야에서는 미국 최대 제약 기업 중 하나인 화이자가 한국 내에서 SK바이오사이언스에 특허침해소송을 통해 새로운 백신 개발을 막고 있다. 2019년에 이미 한 차례 소송을 제기한 데 이어 2024년에도 소송을 제기했다.
미국에서 손해배상 판결로 이어진 건수는 2020년 이후 꾸준히 증가해 2023년에는 80건에 달했다. 2023년에는 전체 배상액이 35억달러를 돌파해 최근 10년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우리 기업과 관련된 손해배상의 경우 최근 5년간 발생한 총 7건 중 대기업이 5건으로, 삼성전자와 같은 글로벌 기업이 집중적인 타깃이 되고 있다.
[실리콘밸리 이덕주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