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대전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열린 제70주년 독도대첩 기념식에서 독도의용수비대 고 홍순칠 대장의 배우자이자 생존 대원인 박영희씨가 동료들의 묘역에서 참배를 기다리고 있다. 2024.11.21 대전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저는 첫 신혼생활을 독도의용수비대 합숙훈련으로 시작했습니다. 독도대첩 70주년을 맞이하여 참으로 감회가 새롭습니다.”
1954년 11월 21일. 일본의 무장순시함 헤쿠라호와 오키호가 독도를 점령할 목적으로 독도에 접근해왔다. 당시 국가의 공권력이 미흡하던 시기에 홍순칠 대장과 대원들은 전투태세를 갖추고 박격포와 소총 등으로 일본의 함정에 맞섰다.
전투가 시작된 지 얼마 안 돼 6·25 전쟁 때 특무상사를 달 정도로 명사수인 제1전투대장 서기종 대원이 박격포 초탄을 명중시켜 배에서 몇 사람이 나가떨어졌다. 열악한 상황이었지만 독도를 지키겠다는 마음으로 필사의 항전을 펼쳤고 결국 일본 함정은 물러가게 된다. 그날의 ‘독도대첩’이 없었더라면 독도의 운명은 어떻게 됐을지 모를 일이다.
올해 독도대첩 70주년을 맞아 기념식 행사가 국립대전현충원 현충관에서 열렸다. 이번 행사는 독도의용수비대원의 희생과 헌신을 기억하고 계승하기 위해 독도의용수비대기념사업회 주관으로 마련됐다.
행사에는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과 생존 대원 박영희씨를 비롯해 400여명이 참석했다. 박씨는 고인이 된 홍 대장의 아내이기도 하다.
박영희씨가 가족들과 함께 남편이자 홍순칠 독도의용수비대장의 묘역을 참배하고 있다. 2024.11.21 대전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박씨는 “홍 대장을 중심으로 6·25 전쟁 중 부상 당한 몸이지만 피 끓는 청춘들의 애국심 하나로 뭉쳐 독도를 사수했다”며 그날의 기억을 떠올렸다.
박씨는 “그저 국민으로서 할 일을 했을 뿐”이라고 말해 감동을 줬다. 그는 “비록 50년간 정부의 무관심과 외면을 받아 왔지만 2005년 독도의용수비대 지원법이 통과돼 기념사업회 출범과 현충원 안장의 예우를 받게 돼 무한한 감사를 드린다”면서도 “어렵고 힘든 시절 파란만장한 세월을 겪다가 대우 못 받아보고 세상을 떠나신 대장님 이하 대원들을 생각하면 목이 멘다”고 털어놨다.
이어 “바람이 있다면 생전에 그토록 이루고자 하셨던 홍 대장의 유지대로 이제 독도는 지키는 독도에서 생산하는 독도가 되어 대한민국 경제에 이바지하는 비옥한 영토가 되도록 우리 유가족과 국민 모두가 합심해 잘 보존·발전시켜 나가기를 염원한다”고 덧붙였다. 박씨는 “어려운 시기에 저를 도와주신 여러분께 큰 감사드린다”고 인사를 마쳤다.
강정애(왼쪽) 국가보훈부 장관과 박영희씨가 21일 국립대전현충원 현충관에서 ‘독도대첩’ 70주년 행사에서 애국가를 부르고 있다. 2024.11.21 대전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행사에 참석한 강 장관은 “홍순칠 대장님을 비롯한 33명의 독도의용수비대원님들은 6·25전쟁의 막바지 혼란을 노린 일본의 침략으로부터 3년 8개월간 혼신의 힘을 다해 독도를 지켜냈다”면서 “독도의용수비대원의 헌신이 있었기에 독도를 실효적으로 지배할 수 있었고 독도에 대한 영토주권을 굳건히 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나라의 안위를 위해 자신을 희생한 분들을 존중하고 예우하는 것은 국가의 당연한 책무”라며 “국가보훈부는 독도의용수비대원을 비롯해 대한민국을 지켜낸 분들을 국민과 함께 기리고 그 헌신에 보답하기 위해 온 힘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독도의용수비대 소개 영상 시청, 기념 공연, 독도수호 결의문 낭독, 독도의용수비대의 노래 제창 등이 진행됐다. 독도수호 결의문은 독도의용수비대 청소년 명예 대원인 수원 삼일공고, 평택 물류고, 대구 대륜중 학생 대표가 읽었다. 기념식을 마친 후에는 수원 삼일공고 ‘독수리 역사사절단’의 독도 탐방 발대식과 유가족의 독도의용수비대 묘역 합동 참배가 이뤄졌다.
류재민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