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0 (수)

"엔비디아! 테슬라!" 열풍에…순대외자산 '역대 최고' 찍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해외증권투자잔액 9969억달러…처음으로 외국인 투자잔액 넘어서

머니투데이

단기외채비율 및 단기외채비중 추이/그래픽=김지영


우리나라 순대외금융자산이 처음으로 9000억달러를 돌파했다. 3분기 연속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국내 투자자의 해외주식 투자가 지속됐고 미국의 주가 상승으로 투자 잔액이 늘어난 영향이다. 대외금융자산과 해외증권투자 증가폭은 역대 두 번째 규모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2024년 3분기 국제투자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지난 3분기말 기준 순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부채)은 9778억달러로 전분기말(8585억달러) 대비 1194억달러 증가했다. 순대외금융자산 증가폭은 2021년 3분기 이후 역대 두 번째 규모다.

대외금융자산(2조5135억달러)은 거주자의 해외증권투자(+646억달러)를 중심으로 전분기 말 대비 1183억달러 증가했다. 해외증권투자잔액은 9969억달러로 1조달러 돌파를 목전에 뒀다.

직접투자도 302억달러 늘었다. 외환보유액 자산 총액을 나타내는 준비자산(4200억달러)은 전분기말 대비 78억달러 증가했다.

박성곤 한은 국외투자통계팀장은 "해외증권투자가 크게 증가한 건 해외주식과 채권 매수가 확대되고 보유 증권의 평가액이 상승하는 등 거래요인과 비거래요인이 모두 큰 폭 플러스를 보였기 때문"이라며 "미국 증시가 랠리를 지속했고 EU(유럽연합) 증시도 3분기 반등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해외증권투자잔액은 1조달러에 근접한 금액으로 통계 편제 이후 처음으로 외국인 투자잔액을 넘어섰다"고 덧붙였다.

같은 기간 대외금융부채(1조5357억달러)는 비거주자의 국내증권투자(-267억달러)가 줄면서 11억달러 감소했다. 직접투자는 지분투자를 중심으로 190억달러 증가했다.

머니투데이

/사진=한국은행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3분기말 기준 순대외채권(대외채권-대외채무)은 3780억달러로 전분기말 대비 34억달러 줄었다. 대외채권과 대외채무(외채)는 각각 410억달러, 444억달러씩 증가했다.

단기 대외채권과 장기 대외채권은 각각 206억달러, 204억달러 증가했다. 단기 대외채권은 중앙은행의 준비자산(+78억달러)과 예금취급기관의 현금·예금(+70억달러) 등이 늘어난 영향이다. 장기 대외채권은 기타부문의 부채성증권(+97억달러) 등이 증가했다.

대외채무는 단기외채와 장기외채가 각각 168억달러, 276억달러 늘었다. 단기외채는 예금취급기관의 차입금이, 장기외채 증가는 일반정부의 부채성증권이 주도했다.

준비자산 대비 단기외채비율(37.8%)과 대외채무 대비 단기외채비중(22.6%)은 전분기말 대비 각각 3.4%포인트(p), 1.0%p씩 상승했다. 최근 3년 분기 평균을 보면 단기외채비중은 26.6%, 단기외채비율은 38.4%로 집계됐다.

단기외채비율은 준비자산(외환보유액) 대비 1년 이내 단기외채 비율을 의미한다. 단기외채비율은 1997년 외환위기 당시 657.9%를 기록했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는 78.4%까지 올랐다.

박 팀장은 "단기외채비율과 단기외채비중이 상승한 부분이 부정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상승 배경을 살펴보면 우리나라 외채건전성은 여전히 양호한 수준"이라며 "이번 상승은 외국인의 국내투자 확대 영향으로 단기외채가 상당 폭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한편 기획재정부는 이날 관련 자료를 내고 "단기외채비중과 단기외채비율이 전분기보다 올랐지만 예년에 비해 낮은 수준"이라며 "국내은행의 외채 상환능력을 나타내는 외화유동성 커버리지 비율(LCR)은 3분기 기준 156.2%로 규제비율인 80%를 크게 상회한다"고 밝혔다.

다만 "주요국 통화정책 전환과 미국 대선 여파, 중동정세 불안 등 국제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대외채무 동향을 면밀히 점검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주현 기자 naro@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