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마약류에 중독된 사람들 상담해주고, 또 교육도 하는 시설이 있습니다. 올해 초 식약처와 마약퇴치운동본부가 서울 강동구에 이 시설을 만들려고 했었는데, 주민들의 반대로 무산됐습니다. 취재 결과 그 과정에서 세금만 낭비된 걸로 파악됐습니다.
김지욱 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
<기자>
서울 강동구의 한 상가 건물.
식품의약품안전처 산하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의 '마약류 중독 재활센터'가 지난 3월 말 입주하기로 예정돼 있던 곳입니다.
어떻게 된 걸까.
서울 시내 유흥가를 중심으로 마약 투약자가 늘어나자 식약처와 운동본부는 지난해, 서울 강동구에 재활센터를 만들기로 했습니다.
그렇게 지난 2월, 재활센터 직원을 뽑겠다는 공고도 냈습니다.
[강동구 소재 초등학교 학부모 : 필요하다고는 생각이 들긴 해요. (하지만) 학교 주변이고 또 아이들도 많이 있고 혹시라도 (마약류에) 노출이 되지 않을까 싶어서.]
지역 정치인들도 반대하면서 센터 개소는 점점 늦춰졌습니다.
결국, 마약퇴치운동본부는 다른 지역을 물색하려 했지만, 먼저 풀어야 할 게 있었습니다.
하지만, 임대인은 계약 해지를 거부했습니다.
그러자 이번엔 강동구청이 나섰습니다.
운동본부에 돈을 대줄 테니, 주민 뜻대로 서둘러 철수해달란 제안이었습니다.
강동구청은 예비비로 보증금 6천만 원을 대신 내줬고, 지금도 매달 텅 빈 사무실의 월세를 꼬박꼬박 내고 있습니다.
강동구청은 "끝내 다른 세입자마저 못 구하면, 지역 자원봉사단체를 위한 공간으로 쓸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마약류 중독 재활센터란 특수한 시설을 설립하면서 관계기관 사이에 충분한 사전 조율이 이뤄지지 않아 설립은 설립대로 무산되고, 세금만 헛되이 쓰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제 일, 영상편집 : 김윤성, VJ : 신소영)
<앵커>
사실 이런 재활센터를 만드는 게 의무 사항은 아닙니다. 그래도 현재 전국 16개 광역지자체에 각 한 곳씩 이런 재활센터가 설립돼 있는데, 아직 서울만 정식으로 문을 열지 못하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김지욱 기자가 이 내용 전하겠습니다.
<기자>
"내 인생 곡선을 털어놓게 됐다."
"치료공동체는 새 삶을 선물해 주셨다."
20년 가까이 마약 중독으로 감옥도 들락거린 40대 A 씨.
'인천 마약류 중독재활센터'에서 4개월의 재활을 최근 마치며 이런 감사의 글을 남겼습니다.
지난 3월에 문 연 이 센터에서는 지금껏 900여 명이 교육받았습니다.
센터를 설립할 때는 지역 주민에게 '마약을 끊으려는 사람들'이라는 점을 설명하면서 사전 양해를 구했습니다.
이런 재활센터는 서울을 뺀 전국 16개 광역지자체마다 하나씩 설립돼 있습니다.
서울에선 '강동구 센터' 무산 이후 정식 개소는 감감무소식입니다.
[서울 강동구청 관계자 : 사전에 교감했으면 (주민 설득이) 되는데, 일방적으로 그냥 거기다가 이제 입지를 정하고….]
[식품의약품안전처 관계자 : 서울시에서도 이견은 없다고 해서 진행하다가 문제가 중간에 불거진….]
현행법에는 센터 설치 근거만 있을 뿐, 설치를 밀어붙일 길은 없습니다.
[이상규/한림대학교 춘천성심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 재활하고 싶어서 온 사람이고 아프면 병원 가는 거랑 똑같은 거예요. 편견의 확장이 그런 사람들 오히려 점점 더 치료도 안 받게 하고.]
기피 시설이라도 사회적 필요가 큰 만큼, 이해당사자들의 협의가 선행돼야 합니다.
[최병원/마약퇴치운동본부 인천지부장 : '당신 가족도 이런 어려움에 빠질 수 있다', 이걸 얘기하면서 같이 계속 소통하려고 노력해야지, 답은 없어요.]
(영상취재 : 황인석, 영상편집 : 박진훈)
김지욱 기자 wook@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마약류에 중독된 사람들 상담해주고, 또 교육도 하는 시설이 있습니다. 올해 초 식약처와 마약퇴치운동본부가 서울 강동구에 이 시설을 만들려고 했었는데, 주민들의 반대로 무산됐습니다. 취재 결과 그 과정에서 세금만 낭비된 걸로 파악됐습니다.
김지욱 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
<기자>
서울 강동구의 한 상가 건물.
식품의약품안전처 산하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의 '마약류 중독 재활센터'가 지난 3월 말 입주하기로 예정돼 있던 곳입니다.
2층 2개 사무실을 사용할 계획이었지만, 현재는 아무도 사용하지 않고 텅 빈 상태입니다.
어떻게 된 걸까.
서울 시내 유흥가를 중심으로 마약 투약자가 늘어나자 식약처와 운동본부는 지난해, 서울 강동구에 재활센터를 만들기로 했습니다.
그렇게 지난 2월, 재활센터 직원을 뽑겠다는 공고도 냈습니다.
하지만, 센터 설립 소식에 강동구의 학부모 단체들을 중심으로 거센 항의와 반발이 시작됐습니다.
[강동구 소재 초등학교 학부모 : 필요하다고는 생각이 들긴 해요. (하지만) 학교 주변이고 또 아이들도 많이 있고 혹시라도 (마약류에) 노출이 되지 않을까 싶어서.]
지역 정치인들도 반대하면서 센터 개소는 점점 늦춰졌습니다.
결국, 마약퇴치운동본부는 다른 지역을 물색하려 했지만, 먼저 풀어야 할 게 있었습니다.
재활센터 사무실을 얻는 데, 보증금 6천만 원에 월세 380만 원으로 4년 임대 계약을 이미 마친 상태라 계약부터 해지해야 했던 겁니다.
하지만, 임대인은 계약 해지를 거부했습니다.
그러자 이번엔 강동구청이 나섰습니다.
운동본부에 돈을 대줄 테니, 주민 뜻대로 서둘러 철수해달란 제안이었습니다.
운동본부는 그렇게 문도 못 연 재활센터 사무실에 두 달 월세만 낸 뒤 최근 설립을 포기하고 떠났습니다.
강동구청은 예비비로 보증금 6천만 원을 대신 내줬고, 지금도 매달 텅 빈 사무실의 월세를 꼬박꼬박 내고 있습니다.
강동구청은 "끝내 다른 세입자마저 못 구하면, 지역 자원봉사단체를 위한 공간으로 쓸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마약류 중독 재활센터란 특수한 시설을 설립하면서 관계기관 사이에 충분한 사전 조율이 이뤄지지 않아 설립은 설립대로 무산되고, 세금만 헛되이 쓰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제 일, 영상편집 : 김윤성, VJ : 신소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앵커>
사실 이런 재활센터를 만드는 게 의무 사항은 아닙니다. 그래도 현재 전국 16개 광역지자체에 각 한 곳씩 이런 재활센터가 설립돼 있는데, 아직 서울만 정식으로 문을 열지 못하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김지욱 기자가 이 내용 전하겠습니다.
<기자>
"내 인생 곡선을 털어놓게 됐다."
"치료공동체는 새 삶을 선물해 주셨다."
20년 가까이 마약 중독으로 감옥도 들락거린 40대 A 씨.
'인천 마약류 중독재활센터'에서 4개월의 재활을 최근 마치며 이런 감사의 글을 남겼습니다.
지난 3월에 문 연 이 센터에서는 지금껏 900여 명이 교육받았습니다.
센터를 설립할 때는 지역 주민에게 '마약을 끊으려는 사람들'이라는 점을 설명하면서 사전 양해를 구했습니다.
이런 재활센터는 서울을 뺀 전국 16개 광역지자체마다 하나씩 설립돼 있습니다.
서울에선 '강동구 센터' 무산 이후 정식 개소는 감감무소식입니다.
[서울 강동구청 관계자 : 사전에 교감했으면 (주민 설득이) 되는데, 일방적으로 그냥 거기다가 이제 입지를 정하고….]
[식품의약품안전처 관계자 : 서울시에서도 이견은 없다고 해서 진행하다가 문제가 중간에 불거진….]
현행법에는 센터 설치 근거만 있을 뿐, 설치를 밀어붙일 길은 없습니다.
[이상규/한림대학교 춘천성심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 재활하고 싶어서 온 사람이고 아프면 병원 가는 거랑 똑같은 거예요. 편견의 확장이 그런 사람들 오히려 점점 더 치료도 안 받게 하고.]
기피 시설이라도 사회적 필요가 큰 만큼, 이해당사자들의 협의가 선행돼야 합니다.
[최병원/마약퇴치운동본부 인천지부장 : '당신 가족도 이런 어려움에 빠질 수 있다', 이걸 얘기하면서 같이 계속 소통하려고 노력해야지, 답은 없어요.]
(영상취재 : 황인석, 영상편집 : 박진훈)
김지욱 기자 wook@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