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통' 아니지만 다소 급 높은 인사 해석도
다이빙 주유엔 중국 부대사. 바이두 캡처 |
신임 주한중국대사에 다이빙(戴兵·57) 주유엔중국부대표가 내정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은 지난 7월 '외교 결례' 논란으로 싱하이밍 대사가 귀임한 이래 주한중국대사 자리를 4개월간 공석으로 비워둔 상태다. 중국은 최근 '한국인 비자 면제' 조치를 비롯해 양국관계 개선을 위한 유화 제스처를 잇따라 보내고 있다.
13일 외교가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다이빙 부대표를 신임 주한중국대사로 내정하고 최종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정부는 이르면 이번 주 안에 공식 발표하고 한국 정부에 대한 아그레망(외교사절에 대한 사전 동의) 절차를 밟을 전망이다.
안후이성 출신인 다이 부대표는 안후이사범대학 외국어과를 졸업했다. 1995년 중국 외교부 아프리카부에서 공직을 시작하면서 남아공 근무를 비롯해 주로 아프리카 분야에서 외교관 경력을 쌓았다. 2017년 중국 외교부 아프리카국 국장을 지냈다. 2020년 유엔 주재 중국대표부 부대표로 임명됐다.
중국은 그간 주한대사로 '부국장급'이나 '국장급'을 파견해왔다. 주유엔 중국대표부 부대표는 '차관보급이나 국장급'인 만큼 전례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는다. 전임자인 싱 전 대사의 경우 본부 국장을 지내지 않고 아주국 부국장을 지낸 뒤 몽골대사를 거쳐 한국에 부임했다. 반면 다이 부대사는 2020년까지 국장을 지낸 뒤, 유엔 부대표를 지냈다. '한반도통'은 아니지만 전임에 비해 다소 급이 높은 인사를 발탁해 한국을 예우한 것이란 해석이 나오는 이유다.
이는 한국이 지난달 윤석열 대통령의 복심인 김대기 전 대통령비서실장을 차기 주중대사로 내정하며 외교적 성의를 보인 데 따른 후속 조치로도 읽힌다. 윤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 일변도 외교로 한중관계가 소원해졌지만, 올해 들어 한중 고위급 교류가 이어지고 있고 내년 11월 경북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시진핑 주석 방한을 추진하고 있는 만큼 중량감 있는 인사를 기용해 양국관계의 활로를 뚫으려는 외교적 메시지로 해석된다. 외교가에서는 중국이 넉 달 만에 주한대사를 지명한 만큼, 김 전 실장에 대한 중국의 아그레망 절차도 곧 마무리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혜미 기자 herstory@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