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7 (금)

세계 최대 전기차업체 BYD 韓 시장 도전…"가격이 성공 여부 결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토3·실·돌핀으로 내년 초 본격 진출…판매·서비스 네트워크 구축

현대차·테슬라 아성 쓰러뜨릴지 관심…모델 추가·관세인상 주문도

(서울=연합뉴스) 김보경 기자 = 세계 최대 전기차업체인 BYD(비야디)가 우리나라 승용차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

테슬라와 더불어 글로벌 전기차 선두 업체로 평가받는 현대차그룹이 지배하는 국내 전기 승용 시장에서 중국 전기차 업체가 어떤 파급효과를 만들어낼지 이목이 쏠린다.

배터리 등 중국산에 대한 불신과 불리한 보조금 제도가 BYD 국내 진출의 최대 걸림돌로 지목되는 가운데 BYD가 내세운 압도적인 가격 경쟁력이 한국 시장에서 받아들여질지가 최대 관심사다.

연합뉴스

BYD
[연합뉴스 자료사진]


◇ BYD "국내에 승용차 브랜드 출시"…아토3·실 등 내세울듯

BYD의 한국 법인인 BYD코리아는 13일 "국내 시장에 승용차 브랜드 출시를 위한 검토를 완료하고, 승용차 브랜드를 국내 출시한다"고 밝히며 한국 진출을 공식화했다.

BYD는 전기차를 비롯해 이차전지, 태양광 패널 등을 생산하는 중국 기업으로, 지난해 상반기 전기차 판매량에서 미국 테슬라를 제치고 글로벌 1위 전기차업체로 발돋움했다.

BYD는 자동차 트렌드의 바로미터라고 할 수 있는 한국 승용시장 진출을 염두에 두고 2016년 전기 지게차·버스·트럭 등 국내 상용차 시장에 먼저 도전장을 내밀었다.

이어 지난해 전기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아토3'와 전기 중형 세단 '실'과 전기 소형 해치백 '돌핀' 등 6개 모델의 상표를 국내 출원했고, 올해 상반기부터 산업통상자원부와 환경부의 전기 승용차 인증 절차를 밟아왔다.

BYD는 정부 인증에 앞서 한국 시장 판매·서비스 네트워크 구축을 마무리했다.

조인철 전 미니코리아 총괄본부장이 BYD코리아 승용사업 부문 대표를 맡은 가운데 국내 BYD 판매는 판매회사인 도이치모터스와 삼천리, 하모니오토 한국법인이 나눠 맡게 됐다.

특히 중국 최대 자동차 유통그룹 하모니오토는성공 여부 BYD 차량 판매를 계기로 한국 시장에 처음으로 발을 내디뎠다.

BYD는 테슬라와 마찬가지로 국내 시장에서 온라인 판매시스템을 도입할 것으로 알려졌다.

BYD는 산업부와 환경부 인증 후 내년 초 아토3와 실, 돌핀 등 3가지 모델을 모두 내세워 국내시장을 공략할 방침이다.

세 모델 모두 아직 환경부 인증을 마무리하지 못한 상태에서 국토교통부의 차량 제원 통보는 아토3만 완료해 아토3가 국내 시장에 가장 먼저 출시될 BYD 모델이 될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BYD
[연합뉴스 자료사진]


◇ 가격 책정이 관건…모델 다양화·관세 인상 주문도

글로벌 최대 전기차업체의 BYD가 한국 시장에 얼마나 파고들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전망이 제기된다.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올해 1∼10월 국내시장에서 현대차그룹과 수입 브랜드 전기차 판매 비중은 각각 59.8%, 40.2%로 집계됐다.

국내에서 팔리는 전기차 10대 중 6대는 현대차와 기아, 제네시스의 전기차란 얘기다. 수입 전기차 판매의 50%가량은 중국산 모델Y를 내세운 테슬라가 차지하고 있다.

자동차 업계는 가격이 BYD의 국내 진출 성공 여부를 판가름하는 최대 요소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재 국내 출시가 예정된 아토3와 실, 돌핀은 중국 현지 가격이 1천만∼2천만원대로, 가격경쟁력이 매우 뛰어나다.

여기에다 8%가량의 관세와 판매 인센티브, 국내 전기차 보조금까지 고려하면 세 모델은 2천만원 후반대에서 3천만원 초반대의 가격에 국내 출시될 것이 유력하다.

이는 국산 저가 전기차인 현대차 코나EV, 기아 니로EV·EV3보다 500∼700만원정도 저렴한 가격이다.

특히 중형 전기 세단인 실의 경우 체급이 비슷한 아이오닉6보다 1천만원 이상 낮게 가격이 책정될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BYD
[연합뉴스 자료사진]


에너지 밀도와 재활용성이 낮은 중국산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에 불리한 국내 전기차 보조금 제도도 BYD의 국내 판매량을 판가름할 요소다.

다만 아토3와 실, 돌핀은 보조금을 결정하는 배터리 효율 계수나 환경성 계수, 사후관리계수 등이 국내 모델에 비해 크게 떨어지지 않아 어느 정도 보조금을 수령할 수 있다고 업계는 내다봤다.

BYD는 국내에 팽배한 중국산에 대한 비우호적 인식도 뛰어넘어야 한다.

국내에서는 지난 8월 중국산 파라시스 배터리 셀이 탑재된 메르세데스-벤츠 EQE의 화재 사고로 이러한 인식이 심화한 바 있다.

해외에 이어 국내 시장에서도 중국산 전기차와의 경쟁이 예고되면서 국내 최대이자 글로벌 3위 완성차그룹인 현대차그룹이 이러한 모델에 대응할 중저가 '가성비' 모델들을 더 내놓아야 한다는 주문이 나온다.

또 유럽과 미국이 중국산 전기차의 자국 시장 점령을 막기 위해 대대적으로 관세 인상을 예고한 상황에서 우리나라도 관세율을 조정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앞서 EU 행정부 격인 집행위원회는 지난 10월 중국산 전기차 수입품에 대해 5년간 확정적 상계관세를 부과하기로 결론내고, 최종 관세율을 45.3%까지 인상한 바 있다.

이항구 자동차융합기술원장은 "세계 최대 전기차업체인데다 모델도 다양하고, 성능도 나쁘지 않아 결국 가격에 따라 판매량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며 "8%의 관세로는 중국산 전기차의 수입을 막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김필수 대림대 교수도 "BYD 전기차가 국내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선 보조금까지 합쳐 동급 국산 전기차보다 1천만원가량 저렴해야 한다"며 "결국 가격에서 승부가 날 것이고, 이러한 가격이 가능할 경우 점유율을 오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vivid@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