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08 (일)

"자율주행시대 머지 않아…실증데이터 확보 美·中에 크게 뒤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車기자협회·車안전학회 공동포럼…EDR 신뢰회복 방안도 모색

뉴스1

신재곤 오토노머스에이투지 사업단장이 12일 한국자동차기자협회와 한국자동차안전학회가 서울 강남 코엑스에서 공동으로 개최한 포럼에 참석해 자율주행 기술의 핵심 이슈 및 상용화 전망을 발표하고 있다(한국자동차기자협회 제공). 2024.11.12.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김성식 기자 = "당장 내년 3월부터 자율주행 버스가 상용화됩니다. 정부도 실증 데이터 확보가 중요한 만큼 자율주행 시장을 조금씩 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자율주행 스타트업 오토노머스에이투지의 신재곤 사업단장은 12일 한국자동차기자협회와 한국자동차안전학회가 서울 강남 코엑스에서 공동으로 개최한 포럼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이날 포럼에는 △자율주행 기술의 핵심 이슈 및 상용화 전망 △자동차 사고 및 자율주행 에지 케이스(예외적 상황) 재현을 주제로 발표가 진행됐다.

첫 번째 발표자로 나선 신 사업단장은 "자율주행차는 급가속, 급감속 없이 정속 운전을 해 전체 사고의 90%를 차지하는 인간 운전자의 실수를 방지하고, 교통 흐름 개선과 이산화탄소 감축에 도움이 된다"며 "인구소멸 지역에선 이동권 보장 차원에서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레벨4 수준의 자율주행차는 자동차가 모든 사고의 책임을 져야 한다"며 "99.999%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선 실증 데이터가 쌓여야 하는데 미국, 중국과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가 제일 취약한 부분"이라고 꼬집었다.

신 사업단장은 실증 데이터를 축적하려면 현재 자율주행 기술이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분야부터 단계적으로 관련 기술을 도입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그는 자율주행 버스 '로보셔틀'을 예로 들며 "버스 전용차선에서만 운행한다면 일반 차선에서보다 변수가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또한 "현재 자율주행 산업은 대기업 위주의 로보택시와 스타트업 중심의 로보셔틀 분야 투트랙으로 진행되고 있다"며 "우선순위를 고려해 분야별 상용화를 위한 정부의 지속적인 실증 등 지원이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뉴스1

박종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서울과학수사연구소 교통실장이 12일 한국자동차기자협회와 한국자동차안전학회가 서울 강남 코엑스에서 공동으로 개최한 포럼에 참석해 자동차 사고 및 자율주행 에지 케이스(예외적 상황) 재현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한국자동차기자협회 제공). 2024.11.12.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날 두 번째 발표를 진행한 박종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서울과학수사연구소 교통실장은 "사회적으로 '의도하지 않은 급가속' 사고로 인해 매년 사상자가 증가함에 따라 우리 국민들이 불안해하고 있고, 고령 운전자의 페달 오조작에 의한 사고 비율도 늘고 있다"고 말했다.

박 실장은 이어 "향후 자율주행차 사고 발생 시 책임 소재 및 사고 원인 분석에서 자동차 사고기록장치(EDR)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면서도 "우리나라에선 EDR 데이터에 대한 불신이 있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외국과 달리 우리나라는 차량 충돌 실험을 통한 EDR 공개 검증 활동이 없어서 이러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며 내년 10월 한국자동차안전학회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한국자동차연구원 등이 공동으로 자동차 사고 및 자율주행 에지케이스를 공개적으로 재현하는 가칭 'K-Crash' 행사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포럼에 앞서 한국자동차기자협회와 한국자동차안전학회는 자동차 안전 기술 개발을 위한 상호 지원 및 협력에 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에 따라 자동차 안전 기술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 정보 및 자료 활용 협의, 상호 회원에 대한 행사 참여 등 자동차 미래 발전 구상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seongski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