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디지털데일리 권하영기자] 토종 클라우드 3사가 올해 3분기에도 성장세를 이었다. 네이버클라우드와 KT클라우드는 두자릿수 매출 증가를 기록했으며, NHN클라우드도 매각 자회사 효과를 제외하면 두드러지는 높은 성장률을 달성했다.
12일 네이버·KT·NHN이 발표한 2024년 3분기 클라우드 사업부문 실적을 종합하면, 각사는 공공 클라우드 수요 확대에 힘입어 모두 전년동기 대비 매출이 증가했다.
KT클라우드는 올해 3분기 매출로 2070억원을 올렸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8% 상승했다. 인터넷데이터센터(IDC) 사업의 경우 글로벌 고객사 중심으로 운용수익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고, DC 인프라 구축사업 공정률에 따른 매출화가 계속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클라우드 사업도 계약만기 고객의 리텐션에 성공하며 전년대비 성장했다.
특히 KT클라우드는 최근 모회사 KT가 마이크로소프트(MS)와의 인공지능(AI) 및 클라우드 사업 협력을 발표함에 따라, 향후 MS와 공동 개발하는 ‘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 등으로 공공 시장 공략을 한층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네이버클라우드의 올해 3분기 매출은 1446억원으로 집계됐다. 네이버클라우드플랫폼(NCP)과 네이버웍스 등 기업간거래(B2B) 매출이 1231억원으로 상당수를 차지하는 가운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7.0%, 직전 분기보다도 16.1% 증가세를 기록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성장을 견인한 요인 중 하나는 기업용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뉴로클라우드’다. 지난해 11월 무렵부터 네이버의 생성형 AI ‘하이퍼클로바X’를 탑재한 뉴로클라우드의 납품이 순조롭게 진행되는 가운데, 회사는 한국은행·한국수력원자력 등과도 뉴로클라우드 도입을 지속 논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NHN클라우드의 경우 올해 3분기에 전년동기보다 7.6% 증가한 1027억원 매출을 기록했다. 지난해 매각 자회사 효과를 제외한다면, 전년동기 대비 매출 증가율은 21.5%에 이른다고 회사는 밝혔다. NHN은 지난해 하반기 기술 부문에 속하는 자회사 NHN다이퀘스트와 클라우드넥사를 매각한 바 있다.
특히 NHN클라우드는 공공분야에서 괄목할 성과를 내고 있다. 국가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정자원)의 올해 대구센터 민관협력형(PPP) 사업 가운데, 행정안전부 범정부 통합창구 임차사업을 포함해 전체의 60% 이상을 수주했다는 전언이다.
수주 성과가 집중되는 하반기로 갈수록 이들 기업의 실적도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3사는 공공 클라우드 시장 위축으로 지난해에 약간의 부침은 있었지만 대체로 호실적을 이어왔다. 전반적으로 AI 생태계가 확산하면서 덩달아 클라우드 인프라 수요가 커졌고, 올해 들어서는 예산 부족으로 주춤했던 공공 클라우드 시장도 회복되는 추세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내년에도 공공 시장 중심으로 긍정적인 전망이 나온다. 김동훈 NHN클라우드 대표는 이번 3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올해와 내년 예산은 비슷한 수준이나, 올해 공공부문 미집행 비용을 감안하면 내년에는 올해 대비 2배 시장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최근 정부는 기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클라우드보안인증(CSAP) 제도 외에도 국가정보원이 새로운 사이버보안체계로 준비하는 다중계층보안(MLS) 등 정책적 변화가 이뤄지고 있다. 이에 원래라면 2~3분기에 나왔어야 할 공공 사업들이 4분기 들어 나오고 있다는 게 김 대표의 설명이다.
다만 늦어도 내년부터 CSAP 등급제 전면시행과 MLS 도입이 본격화됨에 따라, 외산 클라우드 업체들의 국내 공공 클라우드 시장 진입이 이뤄질 것인 점은 국내 기업에 불확실성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NHN클라우드는 국내 유일 행정망 연계 클라우드 역량을 내세우고 있으며, 네이버클라우드도 AI 기반 뉴로클라우드 영업 강화, KT클라우드는 MS와의 협력을 통한 공공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