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사토시 나카모토가 비트코인을 세상에 내놓았을 때만 해도 이를 진지하게 받아들인 이는 많지 않았다. 이후 각종 코인 붐이 불고 거래소도 생겼지만 극심한 가격 변동성과 규제 불확실성 때문에 암호화폐는 주류 금융 시스템에 쉽게 편입되지 못했다. 그러나 15년 만에 새로운 전환점이 오고 있다.
“미국을 암호화폐의 수도로 만들겠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선언이 글로벌 금융시장을 뒤흔들고 있다. 한때 “비트코인은 사기”라고 일축했던 그는 대선 기간 비트코인을 새 전략자산으로 키우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시장은 트럼프 당선 이후 나흘 연속 최고가 경신으로 화답 중이다.
‘비트코인 대통령’이 되겠다는 트럼프의 입장 선회는 암호화폐를 둘러싼 논의를 질적으로 바꿔 놓았다. 이를테면 이미 공약 단계에서 트럼프는 비트코인을 말하다 말고 채굴 산업 일자리 창출을 언급해 고용 정책을 슬쩍 얹었다. 암호화폐 규제론자인 게리 겐슬러 미 증권거래위원회(SEC) 의장을 백악관 입성 첫날 해임하겠다며 규제 정책의 대전환을 예고하기도 했다. “중국이 비트코인 거래를 금지한 것은 우리(미국)에게 기회”라는 발언은 트럼프 1기 치열했던 미중 경쟁의 전장이 암호화폐 분야로 확전될 것이란 해석을 낳았다.
트럼프가 ‘미국 우선주의’ 경제 정책을 고수하는 동시에 비트코인 전략을 나란히 세운 부분은 특히 주목할 지점이다. 35조 달러에 육박하는 재정부채가 달러의 위상에 생채기를 내는 상황에서 미국 금융 패권을 강화할 새로운 전략무기로 비트코인을 낙점한 것 같은 형세 때문이다.
돌이켜 보면 미 대선 기간 중 러시아가 암호화폐 채굴을 공식 승인하고 중국이 암호화폐 금지 조치를 해지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 건 공연한 일이 아니었다. 트럼프의 ‘비트코인 대통령’ 선언에 대한 첫 반응은 시장보다 미국과 경쟁하는 국가의 정치인들에게서 먼저 나왔던 셈이다.
홍희경 논설위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