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3 (금)

유네스코 유산 등재 앞둔 북한 ‘조선옷’…여성 통제 악용 지적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북한 대성백화점의 한복 판매점.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북한의 ‘조선 옷차림 풍습’이 다음 달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될 것으로 예상된다. ‘조선 옷차림 풍습’은 저고리, 치마 등 우리가 한복으로 부르는 전통 복식의 제작과 착용법을 통칭하는 말이다.

최근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보호 정부간 위원회(무형유산위원회) 산하 평가기구는 북한이 제출한 등재 신청서를 심사해 ‘조선 옷차림 풍습’에 등재 권고 판정을 내렸다.

최종 등재 여부는 다음달 2∼7일 파라과이에서 열리는 제19차 무형유산위원회에서 결정된다. 등재가 결정되면 아리랑(2014년), 김치 담그기(2015년), 씨름(2018년·남북 공동 등재), 평양냉면(2022년)에 이어 북한의 5번째 인류무형문화유산이 된다.

북한은 민족성 고취를 위해 조선옷 착용을 적극 권장한다. 이같은 조선옷 장려는 사상 단속을 위해 외부 문물을 통제하는 북한의 기조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많다. 실제 북한 매체들이 보도하는 사진이나 영상에서는 다양한 장소에서 조선옷을 착용한 사람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전문가들은 조선옷이 ‘문화·도덕적으로 고상한 의복’이라는 점을 강조해 여성들의 사회적 일탈을 막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고 평가한다. 실제 조선옷은 남성보다는 여성과 어린이, 노인이 즐겨 입는것으로 보인다. 통일부는 지난 2월 발간한 북한 경제사회인식실태보고서에서 “여성에게 조선옷 착용을 강조하는 것 등은 전통적인 여성상으로 회귀를 위한 조처”라고 분석했다.

북한은 지난 2020년에도 ’조선 옷차림 풍습‘의 등재를 추진했으나 보류됐다. 당시 조선옷이 당국의 통제 수단으로 쓰일 수 있다는 취지의 지적이 있었다. 유네스코 무형유산위원회 평가기구는 “전 지구적 차원에서 인간의 창의성과 다양성에 어떻게 기여할 것인지 설득력 있는 주장을 제시하지 못했다”

한국은 지난 2022년 국가무형유산으로 ’한복생활‘을 지정했으나, 아직 한복과 관련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신청하지는 않았다.

박송이 기자 psy@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짧게 살고 천천히 죽는 ‘옷의 생애’를 게임으로!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