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3 (수)

시들하더니 2달 만에 반전…"은행보다 대출 금리 싸다" 몰려간 곳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보금자리론 및 4대은행 주담대 금리 변화/그래픽=김지영



보금자리론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은행 대출금리가 계속 올랐지만 보금자리론 금리는 지난 7월부터 동결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가 보금자리론보다 높은 수준까지 올라왔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9월 주택금융공사가 공급한 보금자리론은 3470억원으로 전월과 비교해 14.7%(446억원)이 증가했다. 지난 4월 이후 최대치이다. 보금자리론 공급건수도 1615건을 기록하며 전월 대비 214건이 늘었다.

지난 1월 29일 '특례보금자리론' 접수를 마감한 주금공은 이후 보금자리론을 공급 중이다. 지난 2월부터 본격적인 접수를 시작한 보금자리론은 만기별로 4.20~4.50%(이하 '아낌e' 기준)의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제시하면서 신청 건수가 크게 줄었다.

지난 4월과 7월 금리를 각각 0.15%포인트(P), 0.10%P 낮췄지만 시장의 반응은 크지 않았다. 지난 6월 기준 보금자리론의 금리는 4.05~4.35%(30년 만기 4.25%)로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이 취급한 평균 주담대 금리 3.60~3.68%보다 높았다.

하지만 보금자리론이 지난 7월 이후 금리 동결한 것과 달리 은행권이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금리를 인위적으로 올리기 시작하면서 금리 격차가 줄었다. 지난 9월 기준 보금자리론의 금리는 3.95~4.25%로 4대 은행의 평균 주담대 3.63~4.07%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국민은행과 하나은행은 평균 주담대 금리가 4%를 넘어섰다. 만기가 짧은 보금자리론(10~20년)은 시중은행보다 금리가 낮았다. 지난 9월 보금자리론 판매가 늘어난 원인 중 하나로 풀이된다.

특히 최근에는 시중은행의 금리가 더 높은 상황이다. 지난 7일 기준 4대은행의 주담대 변동금리는 4.761~6.470%로 금리 하단이 보금자리론의 최대금리(4.25%)를 훌쩍 넘는다.

혼합형(5년 고정·주기형) 주담대 금리도 하단이 △국민은행 4.13% △신한은행 4.23% △우리은행 4.46%로 보금자리론 30년 만기 금리인 4.15%와 비슷하거나 더 높다. 시중은행의 금리 하단은 우대금리를 최대로 받을 때 가능한 것으로 실제 체감 금리는 이보다 더 높다.

사실상 보금자리론 금리가 더 싼 셈이다. 보금자리론은 신혼가구, 저소득청년, 사회적배려층 등에게 최대 1.0%P 우대금리도 제공한다. 다만 보금자리론은 부부합산 연소득 7000만원 이하의 조건을 충족해야한다. 또 담보주택 가격이 6억원을 넘어서는 안 되고, 대출 최대한도는 3억6000만원(생애최초 4억2000만원)이다.

기준금리 인하가 예상되는 시점에 30년 가까이 되는 고정금리가 부담스러울 수 있지만 3년 후 갈아탈 수 있다. 3년 이후부터는 상환수수료가 붙지 않는다. 시중은행도 혼합형 금리는 최소 5년간 금리가 고정된다.

시장에서는 은행권의 주담대 금리가 연말까지 크게 떨어지기 어려운 상황으로 본다. 지난달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와 지난 7일(현지시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올해 두 번째 기준금리 인하가 단행됐지만 이미 시장금리에 대부분 반영된 상태다.

오히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선 승리로 '트럼프 트레이드(트럼프 당선으로 수혜가 예상되는 자산에 자금이 몰리는 현상)'가 향후 금리에 더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대규모 투자와 감세 공약은 재정적자 확대로 이어지면서 시장금리 상승을 자극할 수 있다. 강달러도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은행권은 가계대출 관리를 위해 비대면 대출을 중단하는 등의 강수를 두고 있다. 은행 관계자는 "연말까지 강한 가계대출 관리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며 "대출금리 인하는 사실상 어렵다"고 말했다.

김남이 기자 kimnami@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