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7 (화)

SK바이오팜, 3분기 영업익 193억…4분기 연속 흑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3분기 누적 영업이익 557억원…“연간 흑자 달성 8부 능선 넘었다”

세노바메이트 미국 매출 증가…본격적인 영업레버리지 효과 확대

[이데일리 김새미 기자] SK바이오팜(326030)이 창사 이래 최초로 4분기 연속 흑자를 달성했다. ‘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 매출의 지속적인 성장 덕분이다.

이데일리

SK바이오팜 CI (사진=SK바이오팜)


SK바이오팜은 올해 3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영업이익 193억원으로 전년 동기 107억원 적자에서 흑자 전환했다고 8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1366억원으로 51.2% 늘고 순이익은 63억원으로 184억원 적자에서 흑자 전환했다.

이번에 잠정 집계된 매출은 시장 전망치(컨센서스)를 상회한 수치다. 영업이익은 전 분기 대비 일회성 용역 수익이 100억원 이상 감소한 영향으로 약 25.7% 줄었다. 3분기 누적 영업이익은 557억원으로 연간 흑자 달성의 8부 능선을 넘었다는 게 회사 측 판단이다.

회사는 세노바메이트의 빠른 미국 매출 성장 속도로 인해 영업 레버리지 효과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영업 레버리지란 고정비가 큰 산업에서 매출액 증가에 따른 영업 이익의 상승 속도가 빠른 효과를 말한다. 실제로 세노바메이트의 미국 직접판매 매출이 3분기 1133억원으로 판매관리비 1007억원과의 차이가 126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2배 이상으로 확대됐다.

세노바메이드는 지난 9월 말 허리케인의 영향과 영업일 감소 등으로 인해 일부 매출이 10월로 이월됐음에도 이 같은 매출을 냈다. 올해 3분기에도 세노바메이트는 미국 시장에서 높은 신규 환자 처방 수(NBRx)를 유지하며 가파른 성장을 이어갔다. 세노바메이트의 출시 53개월 차인 지난 9월 월간 총 처방 수는 약 3만1000건이다. 이는 경쟁 신약의 출시 53개월 차 처방 수의 약 2.2배 수준이다.

SK바이오팜 관계자는 “계절적 요인에도 불구하고 빠른 성장세를 유지했다”며 “세노바메이트 매출 성장, 연간 흑자 달성이 순조롭게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기타 매출도 전반적인 호조세로 누적 매출 752억원을 달성하며 연초 가이던스인 연간 700억원을 초과 달성했다.

SK바이오팜 관계자는 “4분기 매출 성장세를 고려하면 연초 제시했던 미국 매출 가이던스의 상단 수준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미국에서 신약을 직접 판매할 때만 가능한 90% 중반의 높은 매출총이익율과 영업 레버리지를 통해 향후 빠른 이익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으로도 세노바메이트 매출 확대를 위해 영업을 강화하고 적응증 확장, 대상 연령 확대, 수출 지역 확대 등을 전방위적으로 실시하겠다는 전략이다.

우선 SK바이오팜은 핵심 의료진(Key Opinion Leader·KOL)을 전담하는 기술 영업 인력과 롱텀케어(LTC) 전담 인력을 충원하고 세일즈 인센티브 구조 개편 등을 통해 세노바메이트의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하반기에 들어 P4 임상이나 연구자 임상에 대한 투자를 시작했으며, 내년에는 환자와 보호자를 직접 타기팅하는 대중(DTC) 광고도 실시할 예정이다.

SK바이오팜은 세노바메이트의 전신 발작으로의 적응증 확장, 소아·청소년까지 연령 확대 등으로 매출 퀀텀 점프를 준비하고 있다. 세노바메이트 전신 발작 3상의 톱 라인 결과(Top Line Result)를 내년 말까지 확보하는 게 목표다. 또한 소아·청소년 대상 승인 신청에 앞서 태블릿을 삼키기 어려운 소아를 위한 경구 현탁액 제형을 내년 중 승인 신청 할 수 있는 방안을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협의 중이다.

세노바메이트의 글로벌 출시를 위한 작업도 진행 중이다. 아시아 지역 출시를 위한 한·중·일 임상이 완료 단계에 진입해 해당 결과를 내달 초 미국 LA에서 열리는 미국뇌전증학회(AES 2024)에서 포스터 발표할 예정이다. 일부 아시아 지역 파트너사들은 임상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별 승인 신청 절차에 착수했다.

한편 SK바이오팜은 미국 직판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제2의 상업화 제품’ 도입에 관해 늦어도 내년 중 구체적 성과를 내겠다는 방침이다. 또한 차세대 신규 모달리티로 방사성의약품 치료제(RPT), 표적단백질 분해 치료제(TPD)를 선정하고, SK그룹과의 시너지를 바탕으로 각 분야 연구개발(R&D)에 속도를 내고 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