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기술경쟁이 심화 예상, 분야별 대응책 모색
필연기술 초격차로 과학기술 주권 확보해야
7일 국회에서 열린 ‘미국 대선결과에 따른 과학기술 대응전략 토론회’. KAIST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된 가운데 KAIST가 발 빠르게 국제정세 변화를 예측하고 대응방안을 제시해 주목받고 있다.
KAIST는 7일 국회에서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미국 대선결과에 따른 과학기술 대응전략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는 이광형 KAIST 총장이 좌장을 맡아 미 대선 후 기정학적 변화와 우리나라 대응전략을 중점 다뤘다.
이 자리에서 윤지웅 과학기술정책연구원장은미국의 정책변화에 대한 민첩한 대응과 기초역량 강화를 제시햇고, 이동수 네이버클라우드 이사는 인공지능(AI) 생태계 구축과 산업 자립을 위한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 백서인 한양대 ERICA국제문화대학 중국학과 교수는 기술-경제-안보 상호작용에서 국제협력 강화에 대해, 윤정현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연구위원은 미국의 기술 공급망 재편 원칙과 전략적 대응을, 서용석 KAIST 국가미래전략기술 정책연구소장은 우수인재 육성과 확보 및 유지를 역설했다.
아울러 발제자로 나선 김혁중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박사는 ‘2025년 이후 미국 신 행정부의 대 중국 전략 변화’에 대해 반도체 수출통제, 해외투자 규제, 반도체법 가드레일, 관세 변화 등에서 트럼프 당선인이 더욱 강력한 대중 견제를 펼칠 것으로 분석했다.
이어 이주헌 과기정통부 전략기술육성과장은 ‘미 대선 결과와 대한민국 과학기술 주권 도약 전략’을 주제로 미국이 첨단기술 리더십을 지키려하는 만큼 우리나라의 초격차 기술확보와 글로벌 전략기술 파트너십 강화가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이와 함께 유희준 KAIST 인공지능반도체대학원장은 ‘글로벌 정세변화 속 반도체 등 첨단기술 분야 대한민국 대응 전략’으로 미·중 갈등에 따른 위험관리와 반도체 공급망 다변화, AI 반도체 등 차세대 핵심기술 선도와 같은 신격차 전략을 주장했다.
이 총장은 “이번 미국 대선으로 국제 정세가 크게 변하고, 특히 미중 기술경쟁이 심화될 것”이라며 “이는 우리나라에 새로운 도전이자 기회를 동시에 제공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나아갈 방향은 AI, 반도체 같은 필연기술을 세계 최고로 발전시켜 과학기술 주권을 확보하는 것이고, 이를 위해 필요한 과학기술 인재를 육성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7일 국회에서 열린 ‘미국 대선결과에 따른 과학기술 대응전략 토론회’에서 발언하는 이광형 KAIST 총장. KAIST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