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은 해리스’로 기대했던 백인 여성 표심도 미미
해리스는 ‘여성’ 내세우지 않았지만
트럼프는 남성 유권자 불안감 적극 활용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5일(현지시간) 치러진 미 대선에서 패배하면서 첫 여성 대통령 탄생도 무산됐다. AFP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였던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지난 5일(현지시간) 치러진 미 대선에서 패배하면서 첫 여성 대통령 탄생도 무산됐다. 전통적 공화당 지지층인 백인 여성이 ‘숨은 해리스 지지자’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가 있었지만, 결과적으로 이들을 결집하는 데 실패했다. 여성의 임신중지권 문제는 생각만큼 위력을 발휘하지 못했고 ‘유리천장’은 단단했다.
해리스 부통령은 최초 여성이자 흑인 캘리포니아주 법무장관, 최초의 여성·흑인·아시아계 부통령 등 여러 기록을 써왔다. 지난 7월 조 바이든 대통령이 ‘고령 리스크’로 전격 사퇴한 뒤 대선 후보직을 넘겨받았고,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 이후 8년 만에 첫 미국 여성 대통령에 도전했다.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 부부와 민주당 원로인 낸시 펠로시 전 하원의장의 지지를 빠르게 확보했고, 출마 2개월 만에 10억달러(약 1조3963억원)의 선거자금을 끌어모으며 초반 돌풍을 일으켰다. 임신중지권 이슈로 여성 표심이 해리스 부통령에게 쏠릴 것이란 관측이 있었지만, 실제 투표로 이어지지 않았다.
한 여성 지지자가 6일(현지시간) 하워드대학교에서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의 패배 승복 연설을 듣고 있다. AP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CNN이 선거 당일 및 사전투표 등에서 진행한 출구조사 결과를 성별로 보면 해리스 부통령은 여성 유권자에서 공화당 후보였던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이 10%포인트 더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이는 2016년(+13%포인트)이나 2020년(+15%포인트)보다 오히려 줄어든 수치다. 임신중지 이슈만 봐도 해리스 부통령은 ‘모든 경우에 임신중지가 합법’이라고 답한 유권자 그룹에서는 78%포인트 우위를 기록했지만, ‘대부분의 경우에 합법’이라고 밝힌 유권자에서는 4%포인트만 앞섰다.
민주당은 유세 기간 트럼프 당선인이 연방 차원의 임신중지 금지법을 시행할 것이라고 경고했지만 표심에는 영향을 주지 못한 셈이다. CNN은 6일(현지시간) “이 문제가 많은 유권자에게 결정적인 요인이 아니었음을 보여준다”고 했다.
해리스 부통령은 선거 과정에서 여성이나 흑인이라는 정체성을 적극적으로 띄우지 않았다. 클린턴 전 장관이 선거 구호로 ‘그녀와 함께’(I’m with her)를 내세워 첫 여성 대통령 도전을 강조했지만, 역대 최악의 구호라는 평가를 받았기 때문이다.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2016년 클린턴은 흰 바지 정장을 입고 뉴욕의 재비츠센터에서 말 그대로 유리 천장을 깨는 퍼포먼스를 했지만, 해리스는 젠더 언급을 회피했다”고 했다. 20세기 초 미국 여성 인권 운동가들이 여성 참정권을 요구하며 흰옷을 입고 행진하던 데서 영감을 받은 행보였다.
반면 트럼프 캠프는 젠더 이슈를 자극해 남성들을 적극적으로 결집했다. 럿거스 대학의 미국여성정치센터장인 켈리 디트마는 AP통신에 “트럼프는 ‘젠더 규범과 권력 역학이 붕괴하고 있다’는 (남성 유권자들의) 두려움을 잘 활용했다”고 짚었다.
해리스 부통령의 실패는 고질적인 유리천장 문제로 귀결된다는 분석도 나온다. 뉴욕타임스(NYT)는 6일 해리스 부통령의 선거 패배에 대해 “여성 참정권을 보장한 수정헌법 제19조가 통과된 지 105년이 지났지만, 미국인들은 여성을 백악관으로 보내는 결정을 하지 않았다”면서 “미국은 (독립선언문 발표 이래) 248년 동안 남성이 이끌어왔고, 앞으로 적어도 4년은 더 그렇게 될 것”이라고 했다.
박은경 기자 yama@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짧게 살고 천천히 죽는 ‘옷의 생애’를 게임으로!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