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우크라이나 소셜미디어(SNS)가 유포한 북한군 관련 시각 자료. 왼쪽은 지난달 28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빈니차에 기반을 둔 유명 SNS 계정 관리자가 러시아 서부 쿠르스크에 주둔 중인 북한군이라는 설명과 함께 게시한 사진. 아시아계 추정 병사들이 러시아 군복 차림으로 김일성·김정일 초상화 앞에 모여 앉아 있다. 이 사진은 합성은 아닌 것 같다는 소견 외에 다른 확인은 얻지 못한 것이다. 오른쪽은 지난 2일 친우크라 SNS에 ‘첫 번째 북한군 포로’라는 주장과 함께 확산한 사진으로, 합성 조작이라는 전문가 소견이 일치한다. 텔레그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일(현지시간) 친우크라이나 소셜미디어(SNS)에 “첫 번째 북한군 포로”라는 주장을 담은 사진 한 장이 등장했다.
쓰러진 아시아계 병사를 배경으로 누군가 인민군 신분증을 찍어 올린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이 사진은 누군가 포토샵으로 합성·조작한 가짜로 드러났다.
몇 시간 후, 이번엔 ‘러시아 군복을 입은 북한군 셀카’라며 동영상 하나가 유포되기 시작했다.
이 동영상은 이날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 중 7000여명이 박격포와 피닉스 대전차유도미사일(ATGM) 등으로 무장해 지난달 말 우크라이나 국경에 배치됐다”는 우크라이나 국방정보국(DIU) 발표와 맞물려 확산했다.
그러나 동영상 속 병사는 한국말이 아닌 중국말을 하고 있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특별군사작전’을 의미하는 ‘Z’ 군복을 입고 있었으나 북한군이 아닌 중국 용병으로 추정됐다.
2일(현지시간) 친우크라이나 소셜미디어(SNS)에 ‘첫 번째 북한군 포로’라는 주장과 함께 확산한 사진으로, 합성 조작이라는 전문가 소견이 일치한다. 2024.11.3 텔레그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일(현지시간) 친우크라이나 소셜미디어(SNS)에 ‘러시아 군복을 입은 북한군 셀카’라며 유포된 동영상. 영상 속 병사는 확실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특별군사작전’을 의미하는 ‘Z’ 군복을 입고 있었으나 한국말이 아닌 중국말을 하고 있었다. 2024.11.2 텔레그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달 28일 우크라이나 빈니차에 기반을 둔 유명 SNS 계정 관리자는 러시아 서부 쿠르스크에 주둔 중인 북한군이라는 설명과 함께 김일성·김정일 초상화 앞에 모여 앉은 병사들 사진을 게시하기도 했다.
이들은 각각 야전상의와 장교용 우의, 헬멧과 탄띠를 착용한 상태였다.
해당 사진의 진위 확인을 위해 그간 여러 차례 전문가들에 자문을 구했으나, 합성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는 소견 외에 이렇다 할 결론을 낼 수는 없었다.
이밖에 러시아 현지에서 사진 촬영에 응하는 아시아계 군인들 모습이 “모스크바에 출몰한 북한군”이라는 주장과 함께 나돌기도 했으나 역시 진위는 확인되지 않았다.
민간에선 말초적 소재로 폄하 시도
지난달 28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빈니차에 기반을 둔 유명 소셜미디어(SNS) 계정 관리자가 러시아 서부 쿠르스크에 주둔 중인 북한군이라는 설명과 함께 게시한 사진. 아시아계 추정 병사들이 러시아 군복 차림으로 김일성·김정일 초상화 앞에 모여 앉아 있다. 이 사진에 대해 합성은 아닌 것 같다는 소견 외에 다른 확인은 얻지 못했다. 2024.10.28 텔레그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달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북한군 파병설을 공식 거론한 직후부터, 현지에서는 심리전 등 인지전 움직임이 일고 있다.
심리전 전개 양상은 크게 두 갈래로 나뉘는 모습이다.
하나는 우크라이나 당국을 주축으로 한 북한군 사기저하 및 투항 유도 목적의 선전, 다른 하나는 민간 단계에서의 북한군 폄하 시도다.
한국어로 제작한 포로수용소 홍보 동영상과 ‘조선인민군 병사들에게 전하는 말씀’이라는 호소문에서 국방부 측은 “타국 땅에서 무의미하게 죽을 필요가 없다”며 항복 시 하루 세끼 고기반찬으로 이뤄진 식사와 안락한 숙소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고 선전했다.
2014년부터 우크라이나군을 지원한 리투아니아 비영리기구(NGO) ‘블루-옐로’ 측은 28일 “우리가 지원하는 우크라이나군 부대와 북한군의 첫 육안 접촉은 10월 25일 쿠르스크에서 이뤄졌다”며 “내가 알기로 한국인(북한군)은 1명 빼고 전부 사망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북한 인공기를 노획했다는 우크라이나군의 사진을 공개했다.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 장병을 위한 ‘핫라인’을 개설했다. 우크라이나 ‘나는 살고 싶다’ 핫라인은 22일(현지시간) ‘조선인민군 병사들에게 전하는 말씀’이라는 글과 함께 ‘나는 살고 싶다 단일 접수 센터 군 관계자의 호소, 북한의 항복’이라는 제목의 동영상 성명을 올렸다. 2024.10.22 텔레그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1일(현지시간) 친러시아 군사 전문 텔레그램 채널 ‘바옌니 아스베다미뗄’이 최근 우크라이나 동부 포크롭스크 지역에 북한 인공기가 등장했다고 주장하며 공유한 사진. 2024.10.21 텔레그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31일 친우크라이나 텔레그램 채널은 “북한군 쿠르스크 투입 결과”라며 생존 북한 장병 추정 인물의 육성 동영상을 공개하기도 했다.
머리부터 얼굴과 목까지 붕대를 칭칭 감은 채 침대에 누워 있던 해당 장병은 영상에서 “러시아군은 저희가 쿠르스크 교전에서 무작정 공격전에 참가하도록 강요하였습니다”, “우리 부대 인원이 40명이었는데 제 친구들인 혁철이와 경환이를 비롯하여 모두 전사했습니다”, “로씨야 군인은 파편에 머리가 잘렸고...저는 전우들의 시체 밑에 숨어 살아남을 수 있었습니다”, “푸틴은 이 전쟁에서 패할 겁니다”라고 말했다.
그의 말투에서는 북한 억양이 뚜렷하게 묻어났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같은 날 한국 언론에 보도된 인터뷰에서 “현재까지 북한 병력은 전투에 참여하지 않았으며, 우크라이나군과 북한군이 첫 교전을 벌였다는 보도는 사실이 아니다”라고 했으나, 진위 여부와 관계 없이 북한 생존 장병 육성이 우크라이나 쪽에서 흘러나왔다는 점에서 분명한 목적이 엿보였다.
전문가들도 이 같은 선전이 모두 북한군 사기저하와 투항을 유도하려는 우크라이나에 유리하게 작용한다고 짚었다.
31일(현지시간) 친우크라이나 텔레그램 채널이 “북한군 쿠르스크 투입 결과”라며 공개한 동영상 일부. 유일 생존 병사라는 동영상 속 남성 말투에서 북한 억양이 묻어났다. 2024.10.31 텔레그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민간 단계에서는 보다 말초적 소재를 활용한 북한군 폄하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1일 친우크라이나 SNS 채널은 “북한군이 준 개고기 전투식량을 무슨 고기인 줄도 모르고 받아먹은 러시아군”이라는 내용의 시각 자료를 유포했다.
이는 ‘개고기 먹는 북한군’이라는 인종차별적 프레임으로 북한군을 깎아내리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나아가 언어 소통 문제를 겪는 러시아군과 북한군 사이에 식문화까지 끌어들여 결속력을 약화하려는 작전으로 해석된다.
‘첫 번째 북한군 포로’라며 어설프게 합성한 가짜 사진 역시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가짜뉴스 자제…도움 안 된다”
“진짜 증거에도 서방 호응 감소”
1일(현지시간) 친우크라이나 소셜미디어(SNS) 채널은 북한군이 전투식량으로 개고기 통조림을 준비했다는 내용이 담긴 시각 자료를 공유했다. 2024.11.1 텔레그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처럼 민간 단계에서의 가짜뉴스가 난무하자, 우크라이나 내부에서도 자중 목소리가 나왔다.
우크라이나 매체 ‘오보즈레바텔’은 첫 번째 북한군 포로라며 유포된 사진과 관련해 “우크라이나인들은 가짜뉴스를 유포하지 말라는 경고가 나왔다. 이는 여러모로 불리하다”며 러시아군 감시 국제시민단체 ‘인폼네이팜’의 지적을 공유했다.
매체에 따르면 이 단체는 “이틀 동안 러시아 군복 차림으로 숨진 북한군을 배경으로 누군가 군인신분증을 들고 있는 사진에 대해 여러 차례 제보가 들어왔다. 포토샵으로 엉성하게 조작된 사진은 저명인들에 의해 ‘첫 번째 북한군 희생자’라며 SNS에 공유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런 과도한 가짜뉴스는 (우크라이나에) 도움이 되지 않고 오히려 방해가 된다. 특히 진짜 증거가 나왔을 때 서방 정치인들은 ‘가짜 증거가 많았기 때문에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며 시간을 끌고 행동을 미루기 쉬워진다”고 지적했다.
권윤희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