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6 (목)

2금융 가계대출 2조 급증, 3년 만 최대…‘연간 대출 목표’ 받는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달 상호금융‧카드사 등 2금융권의 가계대출이 전월보다 2조원 넘게 증가했다. 3년여 만에 가장 큰 증가 폭이다. 주요 은행이 대출 창구를 걸어 잠근 사이 2금융권으로 대출 수요가 옮겨갔다는 분석이 나온다. 금융당국은 은행권 가계대출 관리 대책을 2금융권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살펴보고 있다.



2금융권 주도한 가계대출 증가세



3일 금융당국과 은행권에 따르면 지난달 가계대출 잔액은 전월보다 6조원가량 늘어났다. 지난 8월 한 달 동안 가계대출이 9조8000억원 늘면서 3년 1개월 만에 최대로 증가한 이후 9월(5조2000억원)엔 증가세가 둔화했다. 하지만 지난달 다시 6조원대로 늘면서 증가세로 돌아섰다.

중앙일보

김영희 디자이너



지난달 가계대출 증가세를 주도한 건 2금융권이라는 점도 눈에 띈다. 실제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달 가계대출 잔액은 1조1411억원 증가했다. 5대 은행을 기준으로 하면 8월(9조6259억원) 증가액의 12% 늘어나는 데 그쳤다. 9월(5조6029억원)과 비교해도 5분의 1 수준이다. 금융당국의 압박에 시중은행이 대출금리를 올리고, 한도를 줄이며 대출 문턱을 높여놨기 때문이다.

대출 수요는 규제가 덜한 2금융권으로 쏠리고 있다. 금융당국은 지난달 2금융권 가계대출 증가액이 2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예상한다. 2021년 11월(3조원) 이후 2년 11개월 만에 최대다. 지난달 늘어난 2금융권 가계대출 중 절반은 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이 차지했다. 상호금융권이 중도금‧잔금 대출 등 집단대출 취급을 대폭 늘린 영향이다. 2금융권 대출 중 카드론과 보험사의 약관대출과 같은 서민 대출도 나란히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출 목표치 제출 2금융까지 확대



2금융으로 풍선효과가 나타나자 금융당국은 추가 대출 규제를 검토하고 있다. 일단 연간 가계 대출 목표치를 2금융권까지 요구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금융당국은 연초 은행권으로부터 가계대출 목표치를 제출받아 해당 목표에 따라 올해 가계대출을 줄이도록 유도하고 있다. 은행권은 올해 대출 목표치를 초과하면 자칫 내년 한도가 줄어드는 '페널티' 우려에 경쟁하듯 대출 총량(잔액)을 줄이고 있다.

금융위는 조만간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열어 2금융권 가계대출 목표치 도입 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은행권은 연간 대출 목표치를 제출하기 때문에 증가세를 예측하고 관리할 수 있지만 2금융권은 이 같은 수단이 없는 상황”이라며 “당장 올해 적용하는 건 어렵지만 2금융권의 관리 노력에도 가계대출 증가세가 이어진다면 내년부터 시행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증가세 이어지면 DSR 직접 규제도



2금융권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강화 등도 금융당국이 검토하는 방안 중 하나다. 현재 50%인 2금융권의 DSR 한도를 은행(40%) 수준으로 낮추거나 수도권 주택담보대출(주담대)에 적용하는 스트레스 DSR을 은행과 마찬가지로 1.2%포인트 적용하는 방안을 놓고 고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앙일보

7월 14일 서울 시내에 부착된 카드 대출 관련 광고물.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다만 지난달 늘어난 2금융권 대출 중 절반 수준인 1조원가량은 주담대가 아닌 신용대출이나 카드론 등 생활상 필요로 인한 대출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부분 은행에서 대출을 받지 못 해 금리가 높은 2금융으로 밀린 대출 수요다. 2금융권마저 대출을 옥죌 경우 급전이 필요한 중‧저신용자 위주로 ‘대출 절벽’에 내몰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2금융권 대출마저 막힌 중·저신용자가 대부업이나 불법 사금융으로 몰리지 않도록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진호 기자 jeong.jinho@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