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취업자 고용안정, 전체 노동자에 비해 부족”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새롭게 취업한 임금 노동자 중 1년 뒤에도 같은 직장에 다니는 사람이 10명 중 4명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장사랑 한국고용정보원 책임연구원이 3일 발표한 ‘임금 근로자의 1년 이상 고용유지율 변화 분석’ 보고서를 보면, 새롭게 취업해 고용보험에 가입한 임금 노동자의 1년 이상 고용유지율은 2021년 기준 40.1%였다. 10명 중 6명은 취업한 지 1년 이내에 퇴사한 것이다.
1년 이상 고용유지율은 2012년 42.4%에서 2017년 41.2%까지 지속 하락하다 2018년과 2019년엔 42%대로 올랐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39.6%까지 감소했다가 2021년엔 40.1%로 다시 증가했다.
고용이 취약한 집단일수록 고용유지율도 낮았다. 1년 이상 고용유지율은 남성 42.4%, 여성 37.9%였다. 연령별로 보면 30대가 46.0%로 가장 높았고, 60세 이상이 34.0%로 가장 낮았다. 학력별로는 대학교 졸업 이상이 44.6%, 중학교 졸업 이하는 32.0%였다. 고용이 취약한 집단은 고용이 위축되는 시기에 고용유지율 감소 폭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40% 안팎에서 증감을 거듭하는 1년 이상 고용유지율과 달리 임금 노동자의 평균 근속기간은 증가 추세다.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를 보면 임금 노동자의 평균 근속기간은 2012년 5.3년에서 2021년 5.9년, 지난해 6.2년으로 꾸준히 늘었다. 신규 취업자 수 감소로 전체 임금 노동자 중 신규 취업자 비중이 낮아져 평균 근속기간이 길어진 것이다.
보고서는 “1년 고용유지율 증가 추세가 나타나지 않는 것은 새롭게 취업한 근로자의 고용안정성이 전체 근로자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선되지 않았다는 점을 시사한다”며 “안정적인 일자리는 안정성이 강화되고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일자리는 그렇지 못한 노동시장 이중구조의 모습”이라고 밝혔다.
김지환 기자 baldkim@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짧게 살고 천천히 죽는 ‘옷의 생애’를 게임으로!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