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울 1·2호기는 계획대로라면 5년 전쯤 가동에 들어갔어야 하지만 문 정부는 기자재 수급과 안전 등 여러 이유로 가동을 미뤘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2022년 말 상업운전과 시운전을 거쳐 이번에 준공하게 된 것이다. 신한울 1·2호기는 국산화에 성공한 ‘한국형 원전’으로 체코 신규 원전 수주 모델이기도 하다. 관련 산업이 무너지고 인재들이 떠나 황폐해진 원전 산업이 이제야 정상화됐다고 할 수 있다. 행사에 참석한 윤석열 대통령은 “정치로 인해 원전 산업의 미래가 무너지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했다.
원전은 지금 국가 안보와 직결되는 상황이다. 우크라이나 전쟁과 중동 불안 등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지면서 각국은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 원전에 주목하고 있다. 탄소 중립을 위해서도 원전은 현실적 대안이다. 태양광 등 재생 에너지만으로는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불가능하다는 게 확인됐기 때문이다. 특히 전력 소모가 많은 인공지능(AI)기술 개발이 당면과제가 되면서 원전 확보 경쟁이 치열하다. 미국은 기존 원전의 연장 운영과 함께 소형 모듈 원자로(SMR) 개발에 나서고 재정지원과 세금혜택으로 뒷받침하고 있다. 탈원전을 고려했던 프랑스도 당초 계획을 폐기하고 신규 원전 6기 건설, 기존 원전 수명 연장 계획을 내놓았고 영국 역시 에너지 자립 차원에서 새로운 원전 프로젝트를 추진중이다.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예민한 일본조차 원전 재가동과 신규원전 건설 검토에 나선 상태다. 그만큼 절박하단 얘기다.
‘원전 르네상스’라 할 만한 상황에서 우리에겐 1000조원 규모로 추산되는 새로운 시장이 열리는 셈이다. 원전 수출은 원자로를 짓는데 그치지 않는다. 운영과 부품, 관리 등을 통해 지속적인 비즈니스가 이뤄지기 때문에 ‘100년 산업’으로도 불린다. 최근 민관이 협력해 체코 원전사업을 수주한 것은 그 신호탄이 될 수 있다. 경쟁사들의 이의 제기 등 넘어야 할 산이 아직 있지만 잘 풀어나가 2차,3차 원전 수출로 이어가야 할 것이다.
원전 정책이 차후 또 흔들리지 않을까 우려의 시선도 있는 게 사실이다. 외풍에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중장기 로드맵 마련이 필수다. 그래야 SMR 같은 차세대 기술 개발과 제도 개선 등 안정적인 발전과 경쟁력을 담보할 수 있다.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