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이스라엘 채널12 뉴스에 따르면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는 이날 집권 리쿠드당 회의에서 이집트가 제안한 단기 휴전안에 "지금 당장" 합의하고 싶지만 하마스로부터 "확답"을 얻지 못해 아직 제안으로 남아있다고 알렸다.
![]() |
지난 8월 21일(현지시간) 이스라엘 수도 텔아비브에서 한 여성이 하마스에 인질로 납치된 피해자들 사진이 부착된 벽보 앞을 지나는 모습. [사진=로이터 뉴스핌]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집트가 제안한 단기 휴전안은 하마스가 이스라엘 인질 4명과 이스라엘 내 팔레스타인인 수감자 맞교환을 조건으로 한 이틀간 휴전이다.
지난 27일 이스라엘 해외정보기관 모사드의 다비드 바르니아 국장은 카타르 수도 도하에서 윌리엄 번스 미국 중앙정보국(CIA) 국장, 셰이크 무함마드 빈 압둘라흐만 알타니 카타르 총리 등과 만나 이에 대해 논의했다.
한 하마스 소식통은 사우디아라비아 아샤르크 뉴스에 하마스가 며칠간 휴전하는 '스몰 딜'이 아닌 전쟁 종료와 이스라엘 전면 철군을 조건으로 이스라엘 인질 전원 석방을 골자로 한 '포괄적인 합의'를 원한다고 귀띔했다.
이 소식통은 "우리는 (협상 중재국들의) 제안을 듣겠지만, 우리는 전쟁을 단번에 끝낼 포괄적인 협상을 선호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하마스의 전면 해체와 재무장을 막기 위해 병력 주둔을 지속해야 해 종전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처럼 양측 간 이견이 여전히 좁혀지지 않은 가운데 협상 재개 노력은 지속된다.
이스라엘 매체 와이넷은 이집트의 정보 수장인 하산 라샤드 국가정보부(GIS) 부장을 다음 논의에 참여시켜 하마스가 간접적으로 참여할 실무 그룹 간 협상을 추진하는 것이 다음 계획된 단계라고 전했다.
wonjc6@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