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30 (토)

이슈 부동산 이모저모

“더 버틸 수 있나” 부동산 PF 리스크에 캐피탈·저축은행 신용등급 줄줄이 하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올해 19개 저축은행 신용등급·전망 내려

신평사, 5개 캐피탈사 예의주시

삼일회계법인 “통합 지원체계·펀드 구축해야”

헤럴드경제

서울의 한 아파트 공사현장 모습.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문혜현 기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 여파로 금융권 ‘약한 고리’로 꼽히는 저축은행과 캐피탈사의 신용등급·전망이 줄줄이 하향되고 있다.

특히 부실이 늘어나도 자본 확충이 가능한 금융지주계열 금융사가 아닌 경우 더욱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 통합 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공공·민간 합동 펀드를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국기업평가는 최근 모아저축은행의 기업신용등급을 ‘BBB+(부정적)’에서 ‘BBB(안정적)’으로 하향 조정했다. 모아저축은행의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24억원으로 전년 동기(90억원) 대비 급감했고, 영업환경 악화로 대출채권 또한 작년 말 2조원에서 올해 상반기 1조5000억원으로 감소했다.

한기평은 모아저축은행에 대해 “대손비용 증가로 수익성이 저하되고 자산건전성도 저하된 가운데 부동산관련대출 및 개인신용대출 건전성 관리 부담이 지속되고 있다”며 “외형 축소로 시장점유율이 하락 추세지만 자본비율은 우수한 수준을 유지한 점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모아저축은행을 비롯해 올해 들어 신용등급·전망이 하향된 저축은행, 신용등급이 취소된 곳은 총 19곳으로, 전체 저축은행(79개)의 24% 수준이다.

저축은행업권은 올해 3분기 200억원 중후반대의 깜짝 흑자를 기록했지만, 일부 부동산 PF 부실 사업장 정리로 그동안 쌓았던 대손충당금이 환입된 효과로 본업인 대출 영업을 통한 수익성 증대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연체율은 아직 8%대로 높아 건전성 개선에도 시차가 발생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헤럴드경제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저축은행업권과 마찬가지로 캐피탈사 또한 신용등급 전망이 하향 조정되고 있다. 글로벌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지난 15일 신한캐피탈의 장기 외화표시 신용등급을 A3로 유지하되 등급 전망을 기존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내렸다.

국내 신용평가사인 나이스신용평가는 신한캐피탈을 비롯해 DB캐피탈, 메리츠캐피탈, 한국캐피탈, 한국투자캐피탈 등 5개사를 중점 모니터링 대상 회사로 꼽았다.

이들 캐피탈사 5곳은 부동산 PF가 자기자본의 100%를 넘는 회사 중 요주의이하여신 비율이 10% 이상인 곳이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캐피탈사 등 여신금융업권의 부동산 PF 대출 잔액은 올해 상반기 23조9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4년 전인 2020년 말(13조8000억원) 대비 73% 급등한 수준이다. 같은 기간 연체율은 0.28%에서 15배 넘게 뛴 4.37%로 치솟았다. 전체 금융권 부동산 PF 연체율이 0.55%에서 3.56%으로 상승한 것과 비교하면 가파른 증가세다.

이들 저축은행과 캐피탈사의 경우 부동산 PF 대출 중에서도 착공 전 단계에 속하는 ‘브리지론’을 많이 취급하거나 공사 단계인 본 PF에서도 후순위 채권자로 들어간 경우가 많기 때문에 부동산 경기 악화의 영향을 더 크게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부동산 PF 위험 관리를 위한 범정부 기구와 자본확충 펀드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삼일회계법인 경영연구원은 최근 발간한 ‘국내 부동산 PF 위기 대응방안’ 보고서에서 ‘통합 위험관리 및 지원체계 구축’과 ‘공공·민간 합동 펀드 구성’을 대응방안으로 제시했다.

보고서는 “부동산 PF는 시행사, 건설사, 금융기관 등 다수의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며, 연관되는 정부기관도 광범위하다.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위험요소를 고려하는 통합 관리·지원 체계가 필요한 이유”라며 “분산된 정부기관의 대응능력을 집약함으로써 정책 변화의 실효성을 제고하고 부작용도 최소화할 수 있다”고 했다.

현재 부동산 PF 관련 정부기관으로는 기획재정부·국토교통부 등 정부부처, 지방자치단체, 주택도시보증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시행사·건설사)와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금융기관) 등이 있다. 정부는 비슷한 사례로 태영건설 워크아웃 관련 대응방안을 이행하기 위해 지난해 12월 ‘관계부처 합동 종합 대응반’을 설치한 바 있다.

보고서는 또 시행사 자본확충으로 투자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한 펀드 조성을 제안했다. 연구원은 “모태펀드 사례에 입각한 시행사 자본 확충 방안으로써 공공과 민간이 합심해 구성하는 펀드를 고려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펀드가 시행사 재무구조 개선의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세제지원 등 법령 정비로 투자 활성화를 유도한다면 장기적 관점에서 국내 부동산 PF 시장의 건전한 발전을 기대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moone@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