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5 (수)

"바스락 바스락"…아날로그 ASMR 가득 찬 낙엽길 5곳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관광공사 추천, 11월 추천 가볼 만한 곳

포천 국립수목원부터 나주 전남산림연구원까지

뉴스1

국립수목원 육림호 주변 가을 풍경(국립수목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윤슬빈 여행전문기자 = 늦더위 탓에 뒤늦게 물들다 어느새 져버린 단풍은 짧은 가을을 더욱 아쉽게 한다. 하지만 낙엽을 밟는 소리와 그 향기 속에는 아직 가을 정취가 머물러 있다.

다정한 이와 발걸음을 맞추며 함께 걷고, 듣고, 느끼는 만추의 낙엽 명소를 떠나보는 것은 어떨까.

26일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11월 추천 가볼 만한 곳으로 '낙엽 밟으며 걷는 길' 주제에 맞는 국내여행지 4곳을 선정했다.

뉴스1

국립수목원 휴게광장에서 볼 수 있는 소원나무(한국관광공사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가을빛 보러 가자, 포천 국립수목원

동쪽에는 운악산, 서쪽에는 용암산을 두고 그사이에 국립수목원이 자리한다. 면적만 11.24㎢다.

하루에 전체를 둘러보기 어려울 만큼 넓다. 가을 풍경을 즐기기에 숲생태관찰로와 휴게광장, 육림호 주변, 전나무숲길 등 국립수목원 남쪽 산책로가 제격이다.

수목원교를 지나면 덱 구간이 나오는데 길을 따라가면 자연스럽게 국립수목원 남쪽 공간으로 접어든다. 숲생태관찰로는 천연림에 460m 길이의 덱을 조성한 관찰 코스다.

뉴스1

광릉 홍살문으로 가는 길(한국관광공사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육림호 주변은 숲길이 형성돼 있고 휴게 광장에선 도시락으로 간단히 식사할 수도 있다.

국립수목원에서 걸어서 10여 분 거리에 광릉이 자리한다. 조선 7대 왕 세조와 정희왕후가 묻힌 곳이다. 차로 10여 분 이동하면 고모저수지가 나온다. 둘레길 주변에 고모저수지 풍경을 감상하며 차 한 잔 마시기 좋은 카페와 식당이 여럿이다.

뉴스1

계곡을 따라 이어지는 선재길(평창군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바스락바스락' 만추의 산책…오대산 선재길·밀브릿지

만추의 걷기 여행지로 오대산국립공원 내 선재길과 밀브릿지를 추천한다.

선재길은 월정사와 상원사를 잇는 숲길로 지금의 도로가 나기 전부터 스님과 신도들이 두 절을 오가던 길이다. 월정사 일주문에서 시작한다면 상원사까지 약 10km 코스로 만만한 거리는 아니지만 길이 평탄해 걷기 어렵지는 않다.

우리나라 3대 전나무 숲으로 꼽히는 월정사 전나무 숲길과 월정사를 지나면 선재길 본 구간이 시작된다. 약 9km의 본 코스는 산림철길, 조선사고길, 거제수나무길, 화전민길, 왕의길 등 지역 역사를 담은 5개 테마 구간으로 이뤄진다.

선재길과 도로를 연결하는 다리가 곳곳에 있어 완주하기 힘들다면 원하는 곳에서 빠져나와 시내버스를 타고 이동하면 된다.

뉴스1

낙엽 가득한 밀브릿지 가을 풍경(평창군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방아다리약수터를 중심으로 조성한 자연체험학습장 밀브릿지도 산책하기 좋은 곳이다. 산책로, 숙소, 카페, 갤러리 등과 함께 몸에 좋은 방아다리약수도 즐길 수 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상에서 평창 핫플레이스로 입소문 난 실버벨교회와 대관령 목장의 매력을 제대로 보여주는 삼양라운드힐(전 삼양목장)에서 인생 사진을 남겨보자. 실버벨교회는 언덕 위에 자리한 이국적인 건축물로, 삼양라운드힐은 드넓은 초지와 젖소, 양 떼, 풍력발전기가 어우러진 풍경으로 사랑받는다.

뉴스1

메타세쿼이아 숲의 공중을 지나는 스카이웨이_박상준 촬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발끝에 흩어진, 가을이었다……대전 장태산자연휴양림

장태산자연휴양림은 메타세쿼이아가 주인공이다. 메타세쿼이아는 무리진 침엽에 붉은 단풍이 들고 낙엽 또한 돗자리를 깔아놓은 듯 바닥 위에 얕고 넓게 흩어진다. 장태산에 처음 메타세쿼이아 숲을 조성한 이는 고 임창봉 씨다. 이를 대전광역시가 인수해 산림문화휴양관 등을 새로이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휴양림에서 가장 인기 있는 장소는 역시나 스카이웨이와 스카이타워다. 지상 10~16m 높이에 놓인 스카이웨이는 메타세쿼이아를 곁에 두고 공중으로 난 산책로다. 그 끝에는 높이 27m의 스카이타워가 방점을 찍는다. 타워 정상부에서는 메타세쿼이아 꼭대기의 우듬지와 눈을 맞춘다.

뉴스1

스카이타워에서 본 메타세쿼이아 우듬지 사이 출렁다리(한국관광공사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탐방 코스와 메타세쿼이아 삼림욕장 등은 호젓하게 즐길 수 있는 장소다.

스카이웨이에서 이어지는 140m의 출렁다리, 다정한 풍경의 생태연못 등도 장태산자연휴양림의 명물이다. 숲속의집이나 산림문화휴양관 등이 있어 하룻밤 묵어가며 메타세쿼이아의 숲을 즐길 수도 있다. 메타세쿼이아 단풍은 활엽수 단풍이 질 무렵에 뒤늦게 든다.

대전 여행의 출발은 배낭 보관서비스(무료) 등을 제공하는 대전트래블라운지가 제격이다. 한밭수목원에서는 활엽 단풍과 낙엽을, 이응노미술관에서는 고암 이응노의 추상과 로랑 보두엥의 건축을 동시에 감상할 수 있다.

뉴스1

상림숲의 물소리와 함께 걷는 산책길(한국관광공사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천년의 시간이 흐르는 '함양 상림'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아늑한 분지에 자리한 고장, 함양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인공림인 함양 상림이 있다.

함양 읍내에 위치한 숲은 들어서자마자 천 년을 이어온 나무들의 깊은 정기가 느껴진다. 통일 신라 시대 학자인 고운 최치원 선생이 함양태수로 있을 당시, 홍수를 막기 위해 둑을 쌓았고 그 둑을 따라 촘촘하게 나무를 심었다.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과 지혜가 스민 숲에 지금은 활엽수 120여 종, 2만여 그루가 울창하다. 잎이 넓고 키가 큰 개서어나무와 품이 넓은 느티나무 등 다양한 나무들이 1.6km의 산책길 사이사이 심겨 있다.

뉴스1

숲 한편에 자연스럽게 피어나는 가을꽃(한국관광공사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초가을에는 붉은 꽃무릇이 장관을 이루고 완연한 가을이면 활엽수가 떨구는 낙엽이 알록달록한 양탄자를 만든다. 또 각각 다른 수종인 느티나무와 개서어나무가 합쳐진 연리목이 독특하다.

숲으로 들어서는 곳에 함화루가 있고 함양 최치원 신도비도 볼 수 있다. 숲 주변으로 공연 무대와 음악분수, 함양의 특산물인 산삼을 주제로 한 전시관 등 다채로운 시설들로 볼거리가 풍성하다.

뉴스1

전라남도산림연구원. 입구부터 이어지는 400m 길이의 메타세쿼이아길은 연구원의 대표적인 풍경이다(한국관광공사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메타세쿼이아 가로수의 화려한 도열…전남산림연구원

전라남도 나주시에 자리한 전라남도산림연구원 내에는 '빛가람 치유의 숲'이 조성되어 있다. 이 숲은 연구 목적으로 만든 시험림으로 현재 방문객에게 무료로 개방하고 있는 공간이다.

이곳에는 무려 1000여 종에 달하는 식물이 자라고 있어 계절에 따른 자연의 변화를 살펴보기에도 좋다. 가을을 맞아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을 비롯해 다양한 활엽수가 화려한 색으로 단장한 채 방문객을 맞이한다.

연구원은 이곳의 산림자원을 활용해 산림치유센터를 운영한다. 각종 건강 측정 장비, 아로마 테라피 등을 활용해 개인별 맞춤형 산림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1인 1만 원의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간단하게 숲 이야기를 듣고 싶다면 숲 해설을 추천한다.

뉴스1

향나무길 또한 기념사진을 남기기에 좋은 장소로 손꼽힌다(한국관광공사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나주의 가을은 빛가람호수공원에서도 만나볼 수 있다. 빛가람혁신도시와 함께 조성된 이 공원은 인공호수, 베메산 등을 중심으로 산책로가 이어져 가을철 단풍 구경을 쉽게 즐길 수 있다.

반남 고분군에 자리한 국립나주박물관에서 나주 역사의 뿌리를 살펴보는 것도 좋다. 조선 시대까지만 해도 전남의 중심지로 손꼽혔던 나주의 옛 모습을 살펴보고 싶다면 금성관으로 향하자.

seulbin@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