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21 (월)

이슈 정치권 사퇴와 제명

‘윤·한 면담’ 형식과 의제 두고 여권 시끌···한동훈 사퇴론까지 등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1일 성남 서울공항에서 필리핀, 싱가포르 국빈 방문 및 라오스 아세안 정상회의를 마치고 귀국하며 마중 나온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와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의 만남을 하루 앞둔 20일 둘로 쪼개진 여권은 막판까지 신경전을 벌이며 진통을 겪었다. 친한동훈(친한)계는 독대가 아닌 삼자 면담 형식을 비판하고, 친윤석열(친윤)계는 한 대표의 김건희 여사 문제 언급에 불편한 기색을 표했다.

윤 대통령과 한 대표는 21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정진석 대통령비서실장이 배석하는 ‘2대 1’ 면담을 한다. 당초 한 대표는 독대를 요구했다. 한 대표측은 이후 대통령실이 3자 면담을 제안하자 당대표 비서실장도 함께 ‘2대 2’로 만나는 안을 제안했지만 대통령실이 거절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친한계 인사는 통화에서 “(3자 면담은) 형식적으로 말이 안 된다. 대통령이 ‘어디 감히 독대야. 내가 너희 만나서 훈시하는 거지’ 이런 느낌을 줄 수도 있지 않느냐”며 “모양새가 좀 그런데 ‘왜 그렇게까지 할까’라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면담의 의제를 두고도 의견이 엇갈렸다. 한 대표는 핵심 의제로 김 여사 문제 해법을 제안할 것으로 알려졌다. 당내에선 대통령과 당 지지율이 함께 하락한 상황에서 구체적인 성과를 내야 한다는 의견이 있는 반면, 어렵게 성사된 면담인 만큼 당정관계와 신뢰 회복에 방점을 둬야 한다는 반박도 나온다.

친한계 인사는 “김 여사 부분과 의정갈등 문제를 해결해야 된다”며 “우리는 이번(10·16 재보선)이 마지막 기회였다. 국민들이 지지해줬으니 우리는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한 대표가 김 여사 관련해) 얘기를 다 묶어서 하겠지만 만약 대통령실이 진짜로 달라졌다면 인적쇄신부터 보여줘야 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반면 한 친윤계 의원은 “잘 화합할 수 있는 대화가 중요할 것”이라며 “(김 여사 문제 등) 그런 이야기는 한 대표가 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이 의원은 이어 “한 대표가 (김 여사 얘기를) 안 해도 대통령실에서도 그런 이야기를 충분히 여론 동향 등으로 다 파악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태흠 충남도지사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대통령과의 신뢰 회복이 우선”이라며 “집권여당 대표가 대통령과 각을 세우고, 대통령을 밟고 재집권한 역사는 단 한 번도 없었다”고 적었다. 나경원 의원은 SNS에 “내일 면담은 이기고 지는 문제가 아니다. 이기려고 하면 바로 지는 것”이라며 “대통령과 대표의 신뢰파탄이 우파진영의 위기로 이어지는 지금, 신뢰가 회복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추경호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내일 면담 이후 국민이 우려하는 당정의 모습이 아닌 좋은 결과가 나오길 기대한다”며 말을 아꼈다.

일부에서는 한 대표 사퇴 주장도 나왔다. 총선백서특위 위원을 지냈던 이상규 서울 성북을 당협위원장은 SNS에 “(한 대표는 서울시교육감) 보궐선거의 엄청난 수도권 대패를 다시금 영부인의 탓으로 돌렸다”며 “수도권 포기의 책임을 지고 당대표에서 사퇴해야 한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과 한 대표를 모두 비판하며 총체적인 국정 방향 논의를 주문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유승민 전 의원은 SNS에서 “보수 몰락의 책임자 두 사람이 내일 만나면 무엇을 해야 하나”라며 국정 실패 원인 진단과 의료대란 해결, 경제 살리기, 연금개혁, ‘김건희 리스크’ 해소 등을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특히 각종 의혹의 핵심 인물인 명태균씨에 대해 “법대로 처단하라”며 강력 대응을 촉구했다.

민서영 기자 mins@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창간 기념 전시 ‘쓰레기 오비추어리’에 초대합니다!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