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05 (화)

“결혼해 아이 낳고 싶어요”…2030 출산 의향 ‘확’ 늘었다, 이유 보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저고위, 결혼·출산·양육 인식조사 결과 발표
6개월새 결혼 의향 있는 남녀 61%→65.4%
아이 없는 여성들의 출산 의향도 높아져


매일경제

일부 요람이 비어 있는 서울의 한 공공산후조리원 신생아실 모습 [사진 =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대와 30대의 결혼, 출산 의향이 크게 높아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심각한 저출생에 대한 우려가 큰 가운데 나온 반가운 소식이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지난 8월 31일∼9월 7일 25∼49세 남녀 2천59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결혼·출산·양육 및 정부 저출생 대책 인식 조사’ 결과(95% 신뢰수준 ±2.2%포인트)를 지난 3월 실시한 인식 조사 결과와 비교해 14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결혼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비율은 전체의 71.5%로, 지난 3월(70.9%)보다 소폭 올랐다. 특히 25~29세 남성의 75.4%가 결혼을 긍정적으로 생각한다고 답했는데, 이는 3월(68.3%)보다 7.1% 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반면, 같은 나이대 여성은 지난 3월(59.2%)보다 소폭 하락한 57.4%가 결혼을 긍정적으로 생각한다고 답했다.

결혼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더불어 결혼할 의향도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미혼 남녀의 65.4%가 ‘결혼을 구체적으로 계획하고 있거나 언젠가 하고 싶다’고 답한 것인데, 이는 지난 3월(61%)보다 4.4% 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특히 30대 여성은 지난 3월보다 무려 11.6% 포인트 오른 60%가 결혼할 의향이 있다고 답해 인식 변화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에 대한 긍정적 인식도 남녀 모두 증가했다. 자녀에 대한 긍정 인식이 낮았던 25∼29세 여성이 48.1%로, 3월(34.4%)보다 13.7% 포인트나 올랐다. 전체 응답자의 68.2%는 자녀가 필요하다고 답해 지난 3월(61.1%)보다 7.1%p 높아졌다.

응답자들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자녀 수는 평균 1.8명이었다. 무자녀 남녀 가운데 출산 의향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37.7%로, 3월(32.6%)보다 5.1% 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결혼은 했지만 아직 자녀가 없는 기혼·무자녀 응답자의 출산 의향이 50.7%로, 3월(42.4%)보다 8.3%포인트나 높아졌다.

다만 이미 자녀가 있는 유자녀 남녀 중 자녀를 추가로 출산할 의향이 있다고 답한 경우는 9.3%로, 3월(10.1%)보다 다소 낮아졌다. 추가 출산 의향이 없거나 계획하지 못한 이유(1+2순위)로는 ‘자녀 양육비용 부담(46.1%)’, ‘자녀 양육이 어렵게 느껴져서(40.7%)’ 등을 들었다.

응답자 중 31.3%는 자녀 출산 후 13∼24개월간 가정 내 돌봄을 희망한다고 답했다. 25∼36개월 동안 가정 내 돌봄을 바라는 응답자도 29.5%나 됐다. 이를 합치면 열 명 중 여섯 명은 자녀 출산 후 최소 1년 이상의 가정 내 돌봄을 바라는 셈이다.

부부가 모두 일하는 맞벌이 가구의 60.6%는 일·가정생활 균형을 위해 필요한 사항(1+2순위)으로 ‘육아를 위한 시간 확보’를 꼽았다.

응답자의 64.6%는 정부의 저출생 대책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거나 내용을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인지도가 68.0%로 남성(61.3%)보다 높았고, 40대 여성의 인지도가 68.4%로 가장 높았다.

응답자들은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해 중요한 분야(복수 응답)로 ‘일·가정 양립 지원’(85.7%), ‘양육 지원’(85.6%), ‘주거 등 결혼·출산 지원’(84.1%) 등을 꼽았다. 남성은 ‘주거 등 결혼·출산 지원’(85.0%), 여성은 ‘일·가정 양립 지원’(88.9%)이 가장 중요하다고 답했다. 유자녀 가구는 ‘양육 지원’(89.0%)을 꼽았다.

국민의 88.1%는 ‘눈치 보지 않고 육아 지원 제도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을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해 가장 시급한 과제로 지목했다. 특히 여성의 90.9%가 이렇게 답했고, 남성의 86.2%는 ‘소득 걱정 없이 휴가와 휴직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답했다.

정부의 저출생 대책 중 국민 인지도가 높은 과제는 ▲신혼·출산·다자녀 가구 주택 공급 확대 ▲ 신생아특례대출 가구의 소득기준 완화 ▲ 유치원·어린이집 무상교육·보육 정책 실현 등이었다.

응답자들은 ‘신혼·출산·다자녀 가구에 주택 공급 확대’(73.6%), ‘육아휴직급여 상한액 최대 월 250만원으로 인상’(72.5%), ‘유치원·어린이집 무상교육·보육 정책 실현’(72.5%) 등의 정책이 저출생 추세 반전에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했다.

향후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해 확대·강화해야 할 정책으로는 ‘엄마와 아빠의 육아기 유연근무 사용 활성화’(84.4%)가 가장 높은 응답률을 기록했다. 이어 ‘소아의료서비스 이용 편의성 제고’(83.0%), ‘긴급 이용자를 위한 돌봄 기관 서비스 확대’(81.3%), ‘임산부 근로시간 단축 추가 확대’(80.8%)가 필요하다는 응답도 많았다.

주형환 저고위 부위원장은 “앞으로 주기적인 인식조사와 국민WE원회, 청년세대 중심의 정책 자문단 등을 통해 결혼·출산·양육에 대한 국민 인식 변화를 살피고, 정책 수요자 입장에서 체감도 높은 정책 대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