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30 (월)

한강 겨냥 “대한민국 탄생과 존립 부정” 비판한 작가…“글업(文業) 잘 감당하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작가 김규나, SNS에서 소설가 한강 비판

세계일보

연세대 학보사가 지난 11일 한국인 최초 노벨문학상 수상자이자 이 학교 국문과 출신 소설가 한강 관련 호외를 제작 배포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소설가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은 ‘역사 왜곡 정당화’라 주장했던 김규나 작가가 “대한민국 탄생과 존립을 부정하는 작가”라며 거듭 한 작가를 비판했다.

김씨는 13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세상이 나를 말하게 한다’는 제목 글에서 “국가 권력이 죄 없는 광주 시민을 학살, 국가 권력이 무고한 제주 양민을 학살했다고 소설마다 담아낸 한강”이라며 이같이 날을 세웠다. 그는 심사위원들을 놓고서도 “6.25 전쟁이 북한의 남침이 아니라 ‘주변 국가의 대리전’이라 말했던 작가에게 ‘역사적 트라우마를 직시’했다고 칭찬했다”며 대한민국 역사를 부정했다고 지적했다. 스웨덴 한림원의 평가 비판으로 해석됐다.

김씨는 “광주사태라고 불렀는데 언제부턴가 민주화 운동이라는 이름의 성역이 됐다”며 “제주사삼 역시 대한민국의 탄생을 막으려고 남로당 잔당 세력이 일으킨 무장반란이고, 우리 경찰이 진압한 사건”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두 사건 모두 진압 과정에서 안타까운 희생이 있었지만, 애초에 반란이 없었다면 그 눈물 역시 없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리고는 “두 사건 모두 진압에 성공하지 못했다면 오늘의 자유 대한민국도 없었다”고 주장했다.

김씨의 글은 2017년 사회적 이슈가 됐던 한 작가의 미국 뉴욕타임즈 기고문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당시 글은 한 작가가 원문을 쓰고 최근 문학상 수상과 더불어 언론에서 잘 알려진 번역가 데보라 스미스씨가 영문으로 번역했다고 알려졌다.

‘미국이 전쟁을 언급할 때, 한국은 몸서리친다’는 제목 기고문에는 ‘(한국전쟁 이후) 지난 60년간 특유의 상황이 지속되면서 한국인들은 무심함과 긴장이 팽팽하게 이어지는 모순된 느낌에 어쩔 수 없이 익숙해졌다’고 적혔다. 기고문은 불안과 공포는 우리 앞의 깊은 곳에 숨어 축적됐고, 평범한 대화 속에서도 문득 모습을 드러낸다고 했다. 한국전쟁이 ‘대리전(proxy war)’이라는 표현은 ‘한국전쟁은 주변 강대국들이 한반도에서 자행한 대리전쟁이었다’ 등 대목에서 언급됐다.

평화만이 한반도 긴장을 완화할 해법이라고 풀이된 기고문은 비슷한 시기 청와대 SNS 페이지에서도 언급됐다.

김씨는 중국 작가 옌롄커에게 문학상을 줘야 했다던 최근 주장에는 “방점이 중국에 있는 게 아니라 ‘옌롄커’라는 것을 기자나 편집실을 정말 몰랐나”라고 되물었다. 그는 “옌롄커는 중국 당국에 의해 그의 작품 거의 모두가 금서로 지정될 정도로 작품마다 공산당을 비난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치적’이라던 문학상 비판에도 “노벨상은 대륙과 인종, 성별을 가려 차례로 돌려가며 준다”는 말로 부각했다.

한 작가가 문학상 수상으로 크고 무거운 ‘글업(文業)’을 짊어졌을 거라면서, 김씨는 “앞으로 그 업을 잘 감당하길 바란다”는 말도 남겼다.

김씨는 지난 10일 한 작가의 문학상 수상에 SNS에서 “시대의 승자인 건 분명하나 역사에 자랑스럽게 남을 수상은 아니다”라고 주장해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5.18 광주민주화운동과 제주 4.3 사건을 다룬 한 작가의 ‘소년이 온다’, ‘작별하지 않는다’ 등에 대한 “강렬한 시적 산문을 선보였다”던 한림원 평가를 “한국의 역사를 뭣도 모른다는 것”이라고 꼬집기도 했다.

김동환 기자 kimcharr@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