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전 후 외국 정부가 러시아 위해 파병한 첫 사례"
최선희(오른쪽 두 번째) 북한 외무상이 지난해 10월 북한 평양에서 세르게이 라브로프(맨 왼쪽) 러시아 외무장관을 만나 대화하고 있다.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북한군 수십 명이 러시아의 북한산 탄도미사일 운용을 지원하기 위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선에 파견돼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이번 의혹이 사실로 밝혀질 경우 양국 간 관계 밀착의 또 다른 방증이 될 수 있다.
영국 가디언은 10일(현지시간) 익명의 우크라이나 소식통을 인용해 "북한산 KN-23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지원하는 북한 군 기술자 수십 명이 러시아 전선에 파견됐다"며 "북한의 탄약 수송이 올해 여름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동부 격전지 진격에 필수적이었다"고 보도했다. KN-23은 2019년 5월 첫 시험 발사에 나선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북한판 이스칸데르'로 불린다. KN-23은 500㎏ 탄두를 탑재할 경우 사거리가 280마일(약 450㎞)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진다.
가디언은 이어 "3일 우크라이나 동부 러시아 점령지에서 우크라이나군 공습으로 북한군 장교 6명이 사망했다"며 "다만 사망한 이들이 군 기술자인지는 불분명하다"고 전했다. 앞서 지난 4일 우크라이나 매체 키이우 포스트는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 인근 러시아 점령 지역에서 우크라이나군의 미사일 공격으로 사망한 20여 명 중 북한군 장교 6명이 포함됐다고 보도했다. 당시 사망자와 별개로 북한군 병사 3명 이상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정은(오른쪽) 북한 국무위원장이 6월 19일 평양 금수산 영빈관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28년 만에 동맹관계를 복원한다는 조약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평양=타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앞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해 9월 러시아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북러 정상회담을 진행했다. 이후 양국 간 무기 거래가 본격화했다는 분석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가디언은 "북한과 러시아 간 합의가 물자 지원 수준을 넘어선 것으로 보인다"며 "해당 내용이 사실이라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외국 정부가 러시아를 지원하기 위해 파병을 한 첫 사례가 될 것"이라고 짚었다. 과거 외국인이 러시아군 용병으로 참전한 경우는 있었지만, 정부 차원에서 파병을 한 적은 없었다는 게 매체의 설명이다.
김용현 국방부 장관도 8일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 가능성에 대해 "러시아와 북한이 거의 군사동맹에 버금가는 협약을 맺고 있어 추가 파병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매체의 북한군 사망 보도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 정황으로 봤을 때 사실일 가능성이 높다"고 평했다.
다만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이날 북한 병력 파견 주장에 대해 "가짜 뉴스"라고 부인했다.
손성원 기자 sohnsw@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