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5 (수)

“수출 이끈 석화·정유, 탄소감축 지원 없으면 글로벌 경쟁력 약화 우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상의·산업부, 2차 산업부문 탄소중립 정책협의회 개최

석화·정유 분야 확실한 감축기술 없어…탄소중립 난관

업계 “지원 강화” “국가 탄소감축목표 현실화” 등 요청

헤럴드경제

[챗GPT를 이용해 제작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김은희 기자] 석유화학과 정유 업계가 탄소감축 인프라와 연구개발(R&D)에 대한 제도적 지원을 강화해달라고 정부에 요청했다. 화석연료에 기반한 산업의 구조적 한계와 기술적 어려움을 고려해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현실화해야 한다는 데에도 한목소리를 냈다.

대한상공회의소와 산업통상자원부가 11일 서울 중구 대한상의회관에서 공동 개최한 제2차 산업부문 탄소중립 정책협의회에서 석유화학·정유 업계 관계자는 정부와 함께 탈탄소 돌파구를 모색했다.

회의에는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과 강감찬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관, 엄찬왕 한국석유화학협회 상근부회장, 유연백 대한석유협회 상근부회장이 참석했다. 강재철 LG화학 부문장, 박인철 롯데케미칼 부문장, 한희민 SK에너지 정책지원실장, 하정재 GS칼텍스 뉴에너지부문장, 이춘배 에쓰오일(S-OIL) 대외부문장, 황인진 HD현대오일뱅크 지원부문장 등 관련 업계 임원과 정은미 산업연구원 본부장, 이상준 서울과기대 교수 등 관련 전문가도 머리를 맞댔다.

헤럴드경제

박일준(앞줄 왼쪽 네 번째) 대한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이 11일 열린 제2차 산업부문 탄소중립 정책협의회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한상의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석유화학·정유산업은 석유를 원재료로 하는 특성상 제품생산과 연료연소과정에서 탄소배출이 많다. 실제 석유화학과 정유 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각각 4690만톤(2위)과 1590만톤(4위)으로 산업 부문의 24%를 차지한다.

국내 수출 주력산업이기도 한 석유화학·정유산업은 주요국 탄소규제에 포함될 것으로 관측된다. 유럽연합(EU)은 현재 철강 등 6개 품목에 적용되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를 석유화학제품과 원유정제 분야로 확대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향후 도입 가능성이 높은 미국의 청정경쟁법(CCA)도 탄소조정세 부과대상으로 화학제품·화학비료, 석유정제품 등 12개 품목을 고려하고 있다.

헤럴드경제

업종별 온실가스 배출량(백만톤, 2018년) [대한상공회의소 제공]


이상준 서울과기대 교수는 이날 회의에서 “국내 석유화학·정유산업은 세계적 수준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주력 수출산업으로서 국가경제를 이끌어왔지만 주요국의 탄소규제에 발맞추지 못하면 경쟁력을 잃을 수 있다”며 “확실한 탄소감축 기술이 아직 없기에 여러 대안을 함께 모색하면서 성공적인 대안으로 좁혀나가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업계는 CCUS(탄소 포집·활용·저장) 기술 상용화, 재생에너지 도입 확대, 저탄소·고기능 소재 기술개발 지원 등 탄소감축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과제를 제시했다. 특히 탄소감축 투자의 경제성을 보장할 수 있는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집중적으로 제기됐다.

박인철 롯데케미칼 부문장은 “석유화학제품이 기후대응의 핵심역할을 담당하는 만큼 수소, 재생에너지, CCUS 등 인프라를 구축해 연·원료 대체와 간접배출 감소 등을 지원하고 탄소차액계약제도 등 기업이 탄소감축에 적극 나설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달라”고 건의했다.

탄소차액계약제도는 정부가 기업에 고정된 탄소가격을 보장해 기업의 탄소감축 활동을 지원하는 제도로 독일, 네덜란드 등에서 활용하고 있다.

헤럴드경제

[챗GPT를 이용해 제작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35 국가 탄소감축목표가 현실적인 목표가 돼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안국헌 대한석유협회 실장은 “지속가능항공유(SAF), CCUS, 이퓨얼(e-fuel) 등 감축기술을 개발하고 있지만 경제성이 낮고 초기 단계에 있어 널리 적용하기 어렵고 저탄소제품과 석유대체연료 생산에 필요한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폐식용유 등 원료확보도 쉽지 않다”며 “정부가 국가과제로서 감축기술 개발과 상용화, 대체원료 공급체계 마련 등 정책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2035 NDC 수립과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석유화학·정유 업계의 노력을 당부하며 다배출업종의 탄소감축을 위한 제도적 지원과 무탄소 에너지 확대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강감찬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관은 “CCUS법 하위법령을 차질 없이 마련해 R&D·규제개선·표준 등 지원이 충분히 이뤄질 수 있도록 업계 투자를 뒷받침하고 무탄소 에너지를 확대해 공정 전기화에 따른 탄소감축 효과가 증대되도록 지원하겠다”고 화답했다.

ehkim@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